七畫
) -->
劫火燒海底 風鼓山相擊
眞常寂滅樂 涅槃相如是 【壇經 慧能語】
겁화가 해저를 태우고/ 바람이 쳐서 산이 서로 부딪치나니/ 진상의 적멸락이여/ 열반의 형상이 이와 같느니라.
見道方修道 不見復何修 道性如虛空 虛空何所修
遍觀修道者 撥火覓浮漚 但看弄傀儡 線斷一時休 【傳燈錄五 本淨偈】
도를 보아야 비로소 도를 닦거늘/ 보지 못했다면 다시 어떻게 닦으리오/ 도의 성품은 허공과 같거늘/ 허공을 어떻게 닦을 바이겠는가/ 수도하는 자를 두루 보매/ 불을 헤쳐서 뜬 거품을 찾음이로다/ 다만 괴뢰 놀림을 보아라/ 선이 끊어지면 일시에 쉬느니라.
見聞如幻翳 三界若空花 聞復翳根除 塵消覺圓淨
淨極光通達 寂照含虛空 却來觀世間 猶如夢中事 【法昌倚遇錄 楞嚴經六】
견문이 환예와 같고/ 삼계가 공화와 같나니/ 듣고서 다시 翳根을 제하니/ 티끌이 사라지고 각만 원정하도다/ 원정이 지극해 빛만 통달하나니/ 고요히 비추며 허공을 머금었네/ 돌아와 세간을 보니/ 마치 몽중의 일과 같더라.
) -->
見山不是山 見水何曾別
山河與大地 都是一輪月 【續傳燈錄一 三交智嵩 法眼偈】
산을 보매 이 산이 아니거늘/ 물을 보매 어찌 일찍이 다르리오/ 산하와 대지여/ 모두 이 한 바퀴의 달이로다.
牢籠不肯住 呼喚不回頭
古聖不安排 至今無處所 【玄沙師備廣錄中 玄沙語】
굳게 에워도 머묾을 긍정치 않고/ 불러도 머리를 돌리지 않나니/ 고성이 안배치 못하고/ 지금토록 처소가 없도다.
至今은 至于今의 준말.
) -->
妙相元無相 觀音處處通 松韻塵塵掃 潮音處處逢 圓通觀自在 無物不眞容 묘한 모양은 원래 모양이 없나니/ 관음이 곳곳마다 통하도다/ 松韻은 티끌마다 쓸고/ 潮音은 곳곳마다 만나도다/ 원통의 관자재여/ 眞容이 아닌 물건이 없도다.
) -->
佛敎是椀鳴 祖宗是睡語 睡語與椀鳴 分明好記取
逈絶無人處 聚頭相共擧 會得甚奇特 不會也相許 【拈頌卄八 一三一二則 修山主偈】
불교는 이 사발이 울림이며/ 祖宗은 이 잠꼬대로다/ 잠꼬대와 사발이 울림이여/ 분명히 좋이 記取하라/ 멀고 끊어져 사람이 없는 곳에/ 머리를 모아 서로 함께 들어보아라/ 알아 얻으면 매우 기특하지만/ 알지 못하더라도 서로 허락하리라.
椀은 사발 완. 주발 완.
) -->
佛法有些子 言中沒網羅
布毛吹起處 依舊不離窩 【雜毒海一 鳥窩 無準範】
불법이 조금 있지만/ 언중엔 망라가 없도다/ 포모를 불어 일으킨 곳이/ 의구히 둥지를 여의지 못했도다.
些는 적을 사. 窩는 둥지 와. 움집 와. 소굴 와.
) -->
佛生迦毗羅 成道摩竭陀
說法波羅柰 入滅拘絺羅 【百丈淸規六 日用軌範章】
불타가 가비라에서 탄생하시고/ 마갈타에서 성도하시고/ 바라나에서 설법하시고/ 구치라에서 입멸하셨다.
) -->
佛說一切法 爲度一切心
我無一切心 何須一切法 【都序下之一 六祖語】
불타가 일체의 법을 설하심은/ 일체의 마음을 제도하기 위함이지만/ 나는 일체의 마음이 없거늘/ 어찌 일체의 법을 쓰리오.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四句以上 7획 吾心似秋月 (0) | 2019.09.01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四句以上 7획 佛說一切法 (0) | 2019.09.01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四句以上 6획 如斬一綟絲 (0) | 2019.09.01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四句以上 6획 妄息寂自生 (0) | 2019.09.01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四句以上 5획 示跡迦維羅 (0) | 2019.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