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畫
) -->
九年空面壁 懡㦬又西歸 【五燈全書卅五】
구 년을 공연히 면벽하더니 부끄럽게 또 서쪽으로 돌아갔다.
十方無壁落 四面亦無門 【碧巖錄六 六○則 聯燈會要十】
시방에 벽락이 없고 사면에 또한 문이 없다.
壁落은 벽의 뜻. 落은 울타리(籬) 락.
) -->
十方無壁落 四畔亦無門 【列祖提綱錄七】
시방에 벽락이 없고 사반에 또한 문이 없다.
四畔은 四方과 같은 뜻.
) -->
十方無虛空 大地無寸土 【頌古集】
시방에 허공이 없고 대지에 촌토도 없다.
) -->
十方薄伽梵 一路涅槃門 【續傳燈錄二十 註心賦一 楞嚴經五】
시방의 박가범이 일로의 열반문이다.
婆伽婆(바가바) 예전에 이르기를 대공덕이 있는 至聖의 이름이다. 바른 말로는 薄伽梵이다. 薄伽는 여기에서 번역해 이르되 德이며 梵은 여기 말로는 成就의 뜻이다. 뭇 덕을 成滿했으므로 이름이 박가범이다 [玄應撰一切經音義卷第三]
) -->
十年不得歸 忘却來時路 【淨慈慧暉錄一】
십 년 동안 돌아감을 얻지 못해 올 때의 길을 망각했다.
) -->
又是逢便宜 又是落便宜 【楚石梵琦錄十一】
또 이는 편의를 만났고 또 이는 편의에 떨어졌다.
) -->
二月桃花紅 三月李花白 【長靈守卓錄】
이월에 도화가 붉고 삼월에 이화가 희다.
李는 오얏 리.
) -->
人無百歲人 枉作千年計 【三家龜鑑上】
사람이 백 살의 사람이 없건만 헛되이 천 년의 계획을 짓는다.
) -->
人無害虎心 虎無傷人意 【虛堂集一 二則】
사람이 범을 해할 마음이 없으면 범도 사람을 상하게 할 뜻이 없다.
) -->
人不知其過 牛不知力大 【從容錄四 五七則】
사람이 그 과실을 알지 못하고 소가 힘이 센 줄 알지 못한다.
) -->
人牛俱不見 正是月明時 【眞心直說】
사람과 소가 다 보이지 않음이여 바로 이 달 밝을 때다.
) -->
人從汴州來 不得東京信 【續傳燈錄二十五】
사람이 변주로부터 오면 동경의 소식을 얻지 못한다.
) -->
人從陳州來 不得許州信 【古尊宿語錄十四 趙州語】
사람이 진주로부터 오면 허주의 소식을 얻지 못한다.
) -->
入道不通理 復身還信施 【續傳燈錄八】
입도하여 이치를 통달하지 못하면 몸을 회복해 신시를 돌려준다.
) -->
入林不動草 入水不動波 【法昌倚遇錄】
숲에 들어 풀을 움직이지 않고 물에 들어 파도를 움직이지 않는다.
) -->
入山擒虎易 開口向人難 【保寧仁勇錄】
산에 들어가 범을 사로잡긴 쉬워도 입을 열어 사람을 향하기 어렵다.
) -->
七星光燦爛 萬里絶塵烟 【人天眼目一】
칠성의 빛이 찬란하니 萬里에 진연이 끊겼다.
七星 七星은 검의 粧飾임. 西京雜記(第一卷)에 이르되 高祖(漢高祖劉邦이니 재위 206-195)가 白蛇를 벤 검이다. 검 위에 七星珠가 있는데 九華玉으로 장식을 삼았고 五色 瑠璃로 雜廁(廁은 섞일 측)하여 匣을 만들었다. 검이 室中에 있으면 光影이 오히려 밖을 비추었다. 빼어난 검과 다르지 않지만 十二年에 한 번 磨鎣(鎣은 갈 형)을 가한다. 칼날 위가 늘 霜雪과 같으며 匣을 열어 칼집에서 뽑으면 문득 風氣가 있고 光彩가 사람을 쏘았다 [祖庭事苑卷第三].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二句 4획 (0) | 2019.09.01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二句 3획 (0) | 2019.09.01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二句 1획 (0) | 2019.09.01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四句以上 18획 擧手攀南斗 19획 鏡凹照人瘦 20획 譬如暗中寶 21획 護生須是殺 24획 蠶出桑抽葉 (0) | 2019.09.01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五言四句以上 17획 彌勒眞彌勒 (0) | 2019.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