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六畫
) -->
縠穿雀飛 識心隨業 【守遂註潙山警策 本文】
비단이 뚫어져 참새가 날아가듯 식심이 업을 따른다.
이 이구는 설명이 위에 있음.
) -->
機不離位 墮在毒海 【五燈全書四十三 靈隱瞎堂章】
기가 위를 여의지 못하면 독해에 떨어져 있다.
) -->
擔枷過狀 把髻投衙 【碧巖錄九 八四則】
칼을 지고 죄상을 건네고 상투를 잡아 관아에 뛰어들다.
枷는 목에 씌우는 칼 가. 過는 건네 줄 과. 過狀은 죄상을 고백함. 狀은 문서 장. 형상 상. 髻는 상투 계. 衙는 관청 아. 마을 아.
) -->
頭上喫棒 口裏喃喃 【人天眼目六】
머리 위에 방망이를 받고 입속에 남남거리다.
喫은 承受임. 喃은 재잘거릴 남.
) -->
頭上漫漫 脚下漫漫 【碧巖錄五 四二則 虛堂集四 六一則】
머리 위에도 만만하고 발 아래도 만만하다.
漫은 질펀할 만. 넘쳐 흐를 만.
) -->
頭上是天 脚下是地 【楚石梵琦錄三 續傳燈錄十四】
머리 위는 이 하늘이며 발 아래는 이 땅이다.
) -->
頭上著枷 脚下著杻 【楚石梵琦錄十】
머리 위에 칼을 쓰고 다리 아래 수갑을 찼다.
杻는 수갑 추.
頭長三尺 頸短二寸 【洞山錄 洞山語】
머리 길이는 석 자며 목의 짧기는 두 치다.
) -->
蕭何制律 周公制禮 【西巖了慧錄上】
소하가 법률을 제정하고 주공이 예악을 제정했다.
蕭何(?-서기전 193)는 前漢 고조 때의 名宰相. 江蘇省 출생. 張良 韓信 曹參참과 함께 고조의 功臣 중의 한 사람. 재상 때에 秦의 법률을 버리고 律九章을 만들었음. 周公은 주나라의 정치가. 문왕의 아들로 성은 姬. 이름은 旦단. 형인 무왕을 도와 은나라를 멸하였고 주나라의 기초를 튼튼히 하였음. 禮樂制度를 정비하였으며 周禮를 지었다고 알려져 있음.
) -->
隨流得妙 應物全眞 【萬法歸心錄下】
흐름을 따라 묘를 얻고 사물에 응해 온통 眞이다.
) -->
隨處作主 立處皆眞 【臨濟錄 臨濟語】
곳을 따라 主宰를 짓고 선 곳이 다 진이다.
) -->
龍門客少 鬧市人多 【石田法薰錄一】
용문의 객은 적고 요시의 사람은 많다.
鬧는 시끄러울 뇨.
龍蛇易辨 衲子難瞞 【古尊宿語錄十四 趙州章 碧巖錄二 一二則】
용사는 분변하기 쉽지만 납자는 속이기 어렵다.
) -->
龍虵混雜 凡聖同居 【祖庭事苑二】
용사가 혼잡하고 범성이 동거하다.
龍象蹴踏 非驢所堪 【古尊宿語錄十一 聯燈會要八 維摩經中】
용상이 차고 밟음엔 나귀가 감당할 바가 아니다.
) -->
龍生龍子 鳳生鳳兒 【傳燈錄二十四 梁山緣觀章】
용이 용 새끼를 낳고 봉이 봉 새끼를 낳는다.
) -->
龍吟霧起 虎嘯風生 【碧巖錄六 五五則】
용이 읊조리면 안개가 일어나고 범이 읊조리면 바람이 난다.
嘯는 읊을 소. 휘파람 소.
) -->
諸法所生 唯心所現 【註心賦二 楞嚴經一】
제법이 生한 것은 오직 마음이 나타난 바다.
諸法平等 物我一如 【萬法歸心錄下】
제법이 평등하고 물아가 일여다.
) -->
諸佛說弓 祖師說絃 【禪家龜鑑 禪門寶藏錄上】
제불은 활을 설하고 조사는 활시위를 설했다.
絃은 활시위 현. 줄 현.
) -->
諸行無常 一切皆苦 【金剛經冶父頌】
제행이 무상하여 일체가 다 고다.
) -->
醍醐上味 飜成毒藥 【列祖提綱錄八】
제호는 상미거늘 도리어 독약을 이루다.
) -->
澤廣藏山 理能伏豹 【碧巖錄一 四則 明覺錄三】
못이 넓으면 산을 감추고 이치로 능히 표범을 굴복시키다.
藏山 莊子(內篇) 大宗師(莊子의 篇名) 무릇 배를 골(壑은 골 학. 산골짜기 학)에 숨기고 山을 늪(澤은 못 택. 늪 택)에 숨기면 이를 일러 견고하다 한다. 그러나 夜半(한밤중)에 힘이 있는 자가 이것을 지고 도주하면 昧者(어리석은 자)는 알지 못한다. 小大를 숨김이 마땅함이 있으나 오히려 달아나는 것이 있다. 만약에 천하를 천하에 숨긴다면(藏天下於天下) 달아나는 바를 얻지 못하리니 이것이 恒物(萬物)의 大情(情은 實情. 곧 큰 진실)이다 [祖庭事苑卷第五].
) -->
寰中天子 塞外將軍 【楚石梵琦錄八 明覺錄一】
환중에선 천자며 새외에선 장군이다.
寰은 서울의 주위 사방 천 리의 땅 환. 광대한 지역 환. 轉하여 세계 천지 세상의 뜻.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二句 18획 (0) | 2019.09.02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二句 17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二句 15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二句 14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四言二句 13획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