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송구집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字 7획

태화당 2019. 9. 2. 07:23

       七畫

) --> 

更嫌何處不風流 無明慧性錄

다시 어느 곳이 풍류가 아니라고 혐의하느냐.

) --> 

更深垂却夜明簾 人天眼目三

경이 깊으니 야명렴을 내려버려라.


은 밤 시각 경.

) --> 

困卽閒眠渴卽茶 法泉繼頌證道歌

피곤하면 곧 한가히 자고 목마르면 곧 차를 마신다.


求人不如求自己 金剛經冶父頌

남에게 구함이 자기에게서 구함만 같지 못하다.


君自行東我向西 五燈全書卅二

그대는 스스로 동으로 가라 나는 서를 향하리라.

) --> 

君向瀟湘我向秦 碧巖錄三 二四則

그대는 소상을 향하라 나는 진을 향하리라.

) --> 

弄潮須是弄潮人 五燈全書卄四

조수를 희롱함엔 꼭 이 조수를 희롱하는 사람이라야 한다.

) --> 

杜鵑啼血染山花 雪巖祖欽錄一

두견이 울어 흘린 피가 산꽃을 물들이다.

) --> 

杜鵑啼血滴花紅 天童如淨錄上

두견이 울어 흘린 피가 꽃에 떨어져 붉다.

 

은 방울져 떨어질 적. 물방울 적.

) --> 

妙高山色靑又靑 聯燈會要六 長沙景岑章

묘고산의 빛이 푸르고 또 푸르다.


安明由山 須彌山이다. 또한 말하되 修迷樓山이니 바른 말로는 蘇迷盧山이다. 여기에선 또한 말하되 好光山이며 또한 말하되 妙高山이다 [玄應撰一切經音義卷第五].

) --> 

你旣無心我也休 五燈會元六

네가 이미 무심하니 나도 또한 쉰다.

) --> 

李陵元是漢朝臣 拈頌卄九 一三七六則

이릉은 원래 이 한나라 조정의 신하다.

) --> 

杖林山下竹筋鞭 傳燈錄十三 風穴延沼章

장림산 아래의 죽근의 채찍이다.


은 근육 모양의 물건을 가리키는 글자.

杖林山 西域記에 이르되 옛적에 摩竭陀國에 바라문이 있었는데 듣기로 釋迦佛身長丈六이라 함을 듣고 늘 의혹을 품어 믿지를 못했다. 이에 丈六竹杖으로써 부처의 身長을 재려 했는데 늘 죽장의 끝에서 丈六을 벗어났다. 이와 같이 높이를 더했는데 능히 실다움을 궁구하지 못해 드디어 죽장을 던지고 떠났으며 인해 뿌리가 심어졌다(이 얘기는 西域記卷第九에 나옴). 지금도 竹材脩茂(는 길 수)하여 산에 덮히고 골에 가득함 [祖庭事苑卷第六].

) --> 

赤脚波斯入大唐 人天眼目六

맨발의 파사가 대당에 들어오다.

 

波斯는 페르시아인을 가리킴.

) --> 

住山忙似出山忙 龍源介淸錄

산에 머무는 바쁨이 산을 나선 바쁨과 같다.

) --> 

兎子何曾離得窟 五燈全書四十七

토끼가 어찌 일찍이 굴을 떠나리오.

) --> 

何處靑山不道場 月江正印錄下

어느 곳의 청산인들 도량이 아니더냐.

) --> 

旱地蓮華朶朶開 汾陽錄上

가문 땅에 연화가 송이송이 피었다.

) --> 

含元殿上覔長安 石田法薰錄三

함원전상에서 장안을 찾다.


은 방면, 방위를 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