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畫
) -->
一棬攣跳不出 【宏智錄一】
한 권련을 뛰어 벗어나지 못하다.
棬은 나무 그릇 권. 攣은 맬 련. 棬攣은 둥근 나무 그릇.
) -->
一不做二不休 【從容錄二 二五則 圓悟錄十八】
첫째는 짓지 말고 둘째는 쉬지 말라.
) -->
一死更不再活 【拈古彙集卄八】
한 번 죽으면 다시 살지 못한다.
) -->
一手擡一手搦 【碧巖錄五 四八則 傳燈錄十六 巖頭全豁章】
한 손으론 들고 한 손으론 누르다.
擡는 들 대. 搦은 누를 닉.
) -->
一手推一手拽 【從容錄三 三五則】
한 손으론 밀고 한 손으론 끌다.
) -->
一葉落天下秋 【月江正印錄上】
한 잎이 떨어지면 천하가 가을이다.
) -->
一任橫拖倒拽 【笑隱大訢錄一】
가로 끌고 거꾸로 끄는 대로 일임한다.
拖는 끌 타. 拽는 끌 예.
一合相不可得 【碧巖錄九 八七則 金剛經】
일합상은 가히 얻지 못한다.
세존이시여 여래가 설하신 바 삼천대천세계가 곧 세계가 아닌 이 이름이 세계입니다. 무엇 때문인 연고냐 하오면 만약 세계가 실로 있는 것일진댄 곧 이 一合相이거니와 여래가 설하신 일합상이 곧 일합상이 아닌 이 이름이 일합상입니다. 수보리야 일합상이란 것은 곧 이 不可說이건만 다만 범부의 사람이 그 일을 貪着하느니라 [金剛經].
一合相이란 것은 대개 뭇 티끌이 화합하여 한 세계로 이루어짐을 말함이다. 세계가 본래 空했고 微塵도 있지 않건마는 다만 중생이 깨닫지 못해 망령되이 실답다고 집착할 뿐이다. 만약 이것이 실로 있다면 곧 응당 세계가 가히 나뉘어 미진이 되지 않아야 하며 만약 이것이 실로 없다면 응당 미진이 합하여 세계가 되지 않아야 한다. 이로 알지니 執有執無가 다 이치에 맞지 않음이다. 經에 이르되 여래가 설한 일합상이 곧 일합상이 아닌 이 이름이 일합상이라 한 게 이것이다 [三藏法數卷第一].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3획 (0) | 2019.09.02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2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字 21-26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字 17-20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字 16획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