七畫
) -->
君子不耻下問 【虛堂集二 三一則】
군자는 아랫사람에게 물음을 수치로 여기지 않는다.
耻는 부끄러울 치.
) -->
君子千里同風 【從容錄二 二四則 傳燈錄十八 玄沙章】
군자는 천 리에 같은 바람이다.
) -->
迅雷不及掩耳 【碧巖錄四 三七則 從容錄一 一四則】
빠른 우레엔 귀를 막음이 미치지 못한다.
) -->
我脚何似驢脚 【續傳燈錄十五】
내 다리가 어찌하여 나귀의 다리와 같으냐.
黃龍慧南禪師(慈明楚圓의 法嗣. 臨濟下七世)가 室中에서 늘 중에게 물어 가로되 사람마다 다 生緣(고향)이 있나니 上座의 생연이 어느 곳에 있느냐. 바로 문답할 때에 곧 손을 펴고 가로되 내 손이 어찌하여 佛手와 같으냐(我手何似佛手). 또 제방에 종사를 參請하여 얻은 바를 묻고는 다시 다리를 내리고(垂脚) 가로되 내 다리가 어찌하여 나귀 다리와 같으냐(我脚何似驢脚). 삼십여 년을 이 세 질문을 보였는데 그 뜻에 계합하는 자가 드물게 있었으므로 인하여 이를 제목해 黃龍三關이라 하였다 [宗鑑法林卷第三十一]. 총림에서 이를 제목해 黃龍三關이라 하였는데 혹 應酬수하는 자가 있어도 스님이 일찍이 可타 否타 하지 않았다. 사람들이 그 뜻을 헤아리지 못해 어떤 이가 그 연고를 묻자 스님이 가로되 이미 關門을 투과한 자는 팔을 흔들며 바로 가리니 어찌 關吏가 있음을 알리오. 관리로부터 가부를 묻는다면 이는 관문을 투과하지 못한 자니라 [嘉泰普燈錄卷第三].
) -->
我手何似佛手 【續傳燈錄十五】
내 손이 어찌하여 불타 손과 같으냐.
) -->
言寡尤行寡悔 【拈頌六 一八四則 論語 爲政二】
말은 허물이 적어야 하고 행은 후회가 적어야 한다.
尤는 허물 우. 과실 우.
논어 공자가 가로되 많이 듣되 闕疑(의혹을 保留하다)하고 그 나머지를 신중히 말하면 곧 허물이 적다. 많이 보되 위태한 것을 없애고 그 나머지를 신중히 행하면 곧 후회가 적다. 말은 허물이 적어야 하고(言寡尤) 행은 후회가 적어야 하나니(行寡悔) 祿이 그 가운데 있다 [禪林疏語考證一].
) -->
言多去道轉遠 【虛舟普度錄】
말이 많으면 도에서 떨어지기가 더욱 멀다.
) -->
吾道一以貫之 【大慧普覺錄十七 孔子語】
나의 도는 일로써 그것을 꿴다.
공자가 가로되 삼아, 나의 도는 일로써 그것을 꿰느니라(子曰 參乎 吾道一以貫之). 曾子가 가로되 예(唯) [論語 里仁第四].
參乎란 것은 曾子의 이름을 불러 그에게 고함이다. 貫은 通이며 唯란 것은 이에 응답함이 신속하고 의심이 없는 것이다 [集註論語].
) -->
利劍不斬死漢 【明覺錄二 碧巖錄十 九八則】
예리한 검으로 죽은 놈을 베지 않는다.
) -->
作客不如歸家 【續傳燈錄十六】
객 노릇함이 집에 돌아감만 같지 못하다.
) -->
折東籬補西壁 【拈頌五 一五六則】
동쪽 울타리를 꺾어 서쪽 벽을 보수하다.
) -->
呑却不如吐却 【天如惟則錄一】
삼켜버림이 뱉어버림만 같지 못하다.
) -->
呑不入吐不出 【從容錄六 八三則】
삼켜도 들지 않고 토해도 나가지 않는다.
) -->
兎角杖龜毛拂 【金剛經冶父頌】
토끼 뿔 주장자며 거북 털 불자다.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9획 (0) | 2019.09.02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8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6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5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4획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