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二畫
) -->
渴不飮盜泉水 【頌古集】
갈증이 나도 도천의 물을 마시지 않는다.
邑 이름이 勝母라 曾子가 들어가지 않았고 물 이름이 盜泉이라 孔子가 마시지 않았다(邑名勝母 曾子不入 水名盜泉 孔子不飮) [說苑卷十六 談叢].
强將下無弱兵 【明覺錄四】
강장 아래 약병이 없다.
) -->
開天門闢地戶 【永盛註頌證道歌】
천문을 열고 지호를 열다.
闢은 열 벽.
) -->
裙無腰袴無口 【金剛經冶父頌】
치마에 허리가 없고 바지에 입구가 없다.
裙은 치마 군. 袴는 바지 고.
) -->
描不成畵不就 【虛堂集六 八四則】
모뜸을 이루지 못하고 그림을 이루지 못하다.
喪車後掉藥囊 【南石文琇錄二】
상거의 뒤에 약주머니가 흔들리다.
) -->
肅然容愾然聲 【禪林疏語考證三】
숙연한 용모며 개연한 소리다.
愾는 한숨 쉴 개.
肅然容愾然聲 禮記 祭義(예기의 篇名)에 가로되 제사지내는 날에 入室하면 어렴풋하여 반드시 그 자리에 나타남이 있으며 週還(갖가지 의례를 행함. 還은 돌 선)하고 出戶하면 숙연하여 반드시 그 容聲을 들음이 있으며 出戶하여 들으면 愾然하여 반드시 그 탄식하는 소리를 들음이 있다 [禪林疏語考證卷之三].
) -->
雲從龍風從虎 【宏智錄一 從容錄三 三三則 易文言】
구름은 용을 좇고 바람은 범을 좇는다.
) -->
爲者疾用者舒 【禪林疏語考證二】
만드는 자는 빠르고 쓰는 자는 느리다.
舒는 느릴 서.
) -->
進前不如退後 【長靈守卓錄】
앞으로 나아감이 뒤로 물러섬만 같지 못하다.
) -->
虛而靈空而妙 【宏智錄一】
허하면서 신령하고 공하면서 묘하다.
黑山下鬼窟裏 【笑隱大訢錄二】
흑산 아래의 귀굴 속이다.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14획 (0) | 2019.09.02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13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11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10획 (0) | 2019.09.02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六字 9획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