管解
古語 持蠡려酌海 握管窺규天
) -->
고어 표주박(蠡는 표주박 려)을 가지고 바다를 잔질하며 대통을 쥐고 하늘을 엿본다.
) -->
康氏
梁慧皎傳 僧會法師 本康居國王大子 故稱康氏 師形儀偉麗 爲世所重
) -->
梁 慧皎傳(高僧傳을 梁나라 慧皎가 지었음) 僧會法師(?-280. 삼국시대 吳國에서 불교를 전파했음)는 본디 康居國王의 大子(大는 太와 통함)라 고로 康氏라 일컫는다. 스님은 形儀가 偉麗하여 세상에서 존중하는 바가 되었다(高僧傳卷第一을 보라).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上 36 출삼구어(出三句語) 두두물물상(頭頭物物傷) (0) | 2019.09.03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上 35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上 33 게송(偈頌)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上 32 골둔(骨臀) 제타(㖒唾) 부타(斧打) 한정(韓情) (0) | 2019.09.03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雲門錄上 31 오온(五蘊) 벽구(擗口) 시청무성(視聽無聲) 종성(鐘聲) (0) | 2019.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