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자역주 조정사원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一 雪竇後錄 4 사사(傻傻) 별파(憋破) 수보리암중(須菩提巖中)

태화당 2019. 9. 3. 10:01

傻傻는 어질지 못할 사.

當作灑灑 聲下切 傻 沙瓦切 俏也 不仁貌 非義

) --> 

마땅히 灑灑(는 깨끗할 쇄. 씻을 쇄)로 지어야 하나니 聲下切. 沙瓦切이며 (닮을 초)며 어질지 못한 모양이니 뜻이 아님.

) --> 

憋破은 모질 별. 악할 별.

音鼈 方言 憋 惡也 郭璞云 憋怤 急性也 怤 音孚

) --> 

음이 . 方言이니 . 곽박이 이르되 (생각할 부)急性이다. 는 음이 부임.

) --> 

須菩提巖中

須菩提巖中宴坐 說法雨花 徧考衆經 卽無此緣 巖中宴坐 卽分別功德論 佛謂蓮花色比丘尼言 須菩提於巖中補衣 最先見我 且無宴坐之緣 雨花 卽大般若八十四 須菩提謂憍尸迦 是花非生花 亦非心樹生 且無贊嘆之緣 未曾說一字 卽大般若八十一 善現告諸天子言 我曾於此不說一字 汝亦不聞 當何所解 以此考之 衆經雖共有此意而無此緣 實恐後世宗匠借爲此說也로 의심됨.

) --> 

수보리가 巖中宴坐하여 설법하매 꽃을 내렸다고 하는 것은 두루 뭇 경을 詳考했으나 곧 이 인연이 없었다. 巖中宴坐는 곧 分別功德論에 불타가 蓮花色比丘尼에게 일러 말씀하시되 수보리는 암중에서 옷을 보수하면서 가장 먼저 나를 보았다 했으나(增壹阿含經卷第二十八에 나오는 인연이며 優鉢華色比丘尼) 宴坐(은 편안할 연)의 인연은 없다. 雨花는 곧 大般若(大般若波羅蜜多經 六百卷 唐 玄奘譯)八十四에 수보리가 憍尸迦에게 이르되 이 꽃은 이 生花가 아니며 또한 心樹에서 난 게 아니다 했으나 또 贊嘆의 인연은 없다. 未曾說一字는 곧 大般若八十一善現諸天子에게 고해 말하되 내가 일찍이 이에 一字도 설하지 않았고 너도 또 듣지 않았거늘 마땅히 무엇을 알 바이리오 했으니 이로써 考察하건대 뭇 경에 비록 이 뜻이 히 있으나 이 인연은 없으니 실로 후세의 宗匠이 가차하여 이 설을 지었는가 염려스럽다(大般若波羅蜜多經卷第五百三十九 善現이 이르되 내가 일찍이 이 매우 깊은 般若波羅蜜多相應義中無說無示하고 너 또한 無聞하니 마땅히 무엇을 알 바이랴 했고 또 이르되 설사 다시 열반보다 殊勝한 법이 있다 하더라도 나는 또한 설하기를 如幻如化如夢所見이라 하노라. 天帝釋微妙諸華化作하여 善現의 위에 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