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眉
佛眉如初月相 脩緻치紺色可觀 已上三緣 竝見觀佛三昧經 緻 直利切 密也
불타의 눈썹은 초승달의 모양과 같으며 길고 빽빽하며 紺色이며 가히 볼 만하다. 已上의 三緣은 아울러 관불삼매경(觀佛三昧海經卷第一)을 보라. 緻(빽빽할 치)는 直利切이니 빽빽함임.
) -->
瓔珞花鬘▶鬘은 다리꼭지 만. 月子.
西域記云 國中人物 首冠華鬘 身佩瓔珞락 梵云俱蘇摩此云花 梵云摩羅 此云鬘 西域結鬘師 多用蘇摩那花行항列結之 以爲長貫 無問男女貴賤 皆以莊嚴或首或身 以爲飾好 在頭曰瓔 在身曰珞 鬘 音蠻
) -->
서역기에 이르되 國中의 인물이 머리에 華鬘을 쓰고(冠은 戴임) 몸에 瓔珞락을 찬다(위의 글은 西域記卷第二에 나옴). 범어로 이르되 俱蘇摩는 여기에선 이르되 花며 범어로 이르되 摩羅는 여기에선 이르되 鬘이다. 서역의 結鬘師가 많이들 蘇摩那花를 써서 行항列하여 그것을 結束해 긴 꿰미를 삼는다. 남녀귀천을 묻지 않고 다 혹은 머리나 혹은 몸을 장엄해 장식의 아름다움으로 삼는다(위의 글은 大槪 慧琳撰 一切經音義卷第二十에 나옴). 머리에 있음을 가로되 瓔이며 몸에 있음을 가로되 珞임. 鬘은 음이 만임.
) -->
胸字
觀佛三昧經云 是時世尊 被僧竭支 示胸德字 令諸比丘讀誦德字 已知佛功德智慧 莊嚴於卍字印中 說佛八萬四千功德 比丘見 讚嘆佛言 世尊甚奇特 但於胸字說無量義 何況佛心所有功德
) -->
관불삼매경(觀佛三昧海經卷第三)에 이르되 이때 세존이 僧竭支(經文에 僧祇支로 지어졌음. 玄應撰 一切經音義卷第四에 이르되 竭支나 혹은 僧祇支로 짓는 것은 다 그르다. 응당 말하되 僧迦鵄치니 여기에선 번역해 이르되 覆腋이다)를 입고 가슴의 德字를 보이며 모든 비구로 하여금 德字를 독송케 하셨다. 이미 불타의 공덕과 지혜의 장엄을 알자 卍字印(卍은 經文에 萬으로 지어졌음. 佛祖統紀卷第四十에 의거하자면 卍은 서기 694년 唐 則天武后 때 만든 글자임. 統紀에 이르되 처음으로 불경에 卍字를 製作케 했다. 여래는 吉祥과 萬德의 所集이기 때문이다. 음은 萬이 된다) 중에서 불타의 팔만사천 공덕을 설했다. 비구들이 보고 불타를 찬탄해 말하되 세존이시여 매우 기특하십니다. 다만 胸字에서 무량한 뜻을 설하시거늘 어찌 하물며 불타의 마음에 소유한 공덕이겠습니까.
) -->
頂珠
佛頂珠 卽世尊頂圓如珠 常放光明 非今繪塑者別加首飾 如第二十九烏瑟膩니沙相 謂佛頂髮骨肉合成 量如覆拳 靑圓殊妙 又僧伽羅刹經云 佛世尊頂與髮 常放光明 世尊有如是微妙之首 窂堅無缺漏 猶如圓蓋 觀肉髻계相無比 無有飛見其頂者 微妙之髮 善生在頂 各各細耎연 無有參差치 螺文右旋 煒煒光生 其光照徹 無有比等 又論云 佛頂肉髻螺文髮 常如人剃髮後七日形
) -->
佛頂珠니 곧 세존의 정수리의 둥긂이 구슬과 같고 늘 광명을 놓음. 요즘 繪塑소하는 자가 달리 머리 장식을 加한 것이 아님. 예컨대(如) 第二十九(三十二相中 第二十九) 烏瑟膩沙相은 이르자면 불타의 정수리 머리카락과 骨肉이 합성된 것이니 量이 엎어 놓은 주먹과 같으며 푸르고 둥글며 특수하게 묘함. 또 승가라찰경(僧伽羅刹召集經 三卷 符秦 罽賓三藏 僧伽跋澄等譯. 卷中)에 이르되 佛世尊의 정수리와 머리카락은 늘 광명을 놓나니 세존이 이와 같은 미묘한 머리가 있으며 窂堅(窂로는 牢뢰로와 같음. 견고할 로)하여 缺漏가 없으며 마치 圓蓋와 같다. 肉髻相(髻는 상투 계. 상투처럼 돌기한 살의 혹임. 곧 부처 三十二相의 하나)을 보니 비교할 이 없고 날아서(飛) 그 정수리를 보는 자가 있지 않다. 미묘한 머리카락이 잘 나와서 정수리에 있고 각각 가늘고 부드러우며(耎연은 軟과 같음) 參差(參은 층날 참. 差는 층날 치. 어긋날 치. 곧 가지런하지 아니함. 흩어진 모양)함이 있지 않다. 螺文(소라 무늬)이 右旋했으며 煒煒(煒는 발그레할 위. 환할 위)한 광명이 나서 그 광명이 철저히 비추나니 比等할 이 있지 않다. 또 論에 이르되 佛頂(慧琳撰 一切經音義卷第三十五에 이르되 塢瑟膩沙는 唐나라에선 이르되 佛頂이며 또한 이르되 無見頂相이라 하는 것이다)의 肉髻와 螺文의 머리카락은 늘 사람이 머리 깎은 후 七日의 형상과 같다.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6 찰나심(刹那心) (0) | 2019.09.06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5 유순(由旬) (0) | 2019.09.06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3 옥호(玉毫)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2 투보(投報)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四 雪竇祖英下 1 삼보(三寶)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