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자역주 조정사원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六 法眼 25 시응성(諡應聖)

태화당 2019. 9. 7. 11:24

諡應聖

應聖 南唐李氏諡也 楚泗江 此諸郡皆爲屬下 至李景時 方歸世宗 故李氏朝諡此僞號 白虎通曰 諡者 何也 諡之爲言引也 引烈行之迹也 所以進勸成德 使上務節也 死乃諡之何 言人行始終不能若一 故據其始終 後可知也 又曰諡者 別尊卑 彰有德也

) --> 

應聖南唐李氏의 시호임. 楚 泗 江 諸郡이 다 屬下가 되었다가 李景(재위 943-961. 李璟으로 지음. 南唐 第二代元宗) 때 비로소 世宗에 귀속됐으며 고로 李氏朝에 이 僞號했음. 白虎通에 가로되 란 것은 무엇인가. 를 말하자면 이니 烈行行迹을 당겨서() 成德進勸(紹介하여 薦擧)하여 主上으로 하여금 節操(節槪志操)에 힘쓰게 하는 데 쓰이는 것이다. 죽어서 이에 함은 왜인가. 말하자면 사람의 행위의 시종이 능히 한결같지 못하는지라 고로 그 시종에 의거하여 뒤에 가히 아는 것이다. 또 가로되 란 것은 尊卑를 분별하며 有德表彰함이다.

) --> 

三十二身

見楞嚴圓通品 凡三十二應

) --> 

릉엄경(卷第六)圓通品을 보라. 무릇 三十二應.

) --> 

異朕은 조짐 짐.

當作異眹

) --> 

마땅히 異眹(은 조짐 빌미 진)으로 지어야 함(은 같은 뜻).

) --> 

忿怒

上撫吻切 恚也

) --> 

撫吻이니 성냄임.

) --> 

捷疾華嚴經音義卷下에 이르되 夜叉 여기에선 이르되 祠祭鬼니 이르자면 俗間에서 祠祭하며 恩福을 구하는 자이다. 舊時의 번역은 捷疾鬼이다.

上疾葉切 鬼名

) --> 

疾葉切. 귀신의 이름임.


澄喧은 떠들썩할 훤.

況元切 雜也

) --> 

況元切이니 .

) --> 

焚黃죽은 후 벼슬을 받았을때 官誥副本을 쓴 누런 종이를 무덤 앞에서 태우는 일.

諡聖應之號 所以焚其敕黃 唐高宗上元二年 詔曰詔敕施行 旣爲永式 比用白紙 多有蟲蠧 宜令今後尙書省頒下 諸司州縣 竝用黃紙

) --> 

聖應(聖上. 呼應. 곧 성상의 뜻에 호응함)寵諡(寵愛하여 )한지라 소이로 그 敕黃을 태움임. 唐高宗 上元二年675 조칙해 가로되 조칙을 시행함이 이미 永久儀式이 되었다. 近者()白紙를 쓰매 벌레와 좀(는 좀 두)이 많이 있으므로 宜當今後로는 尙書省에서 여러 司 州 縣頒下(은 퍼뜨릴 반. 頒布해서 내림)할 적에 아울러 黃紙를 쓰게 하라.

) --> 

哲后은 밝을 척. 는 임금 후.

明君也

) --> 

명군.

) --> 

關畿關門 . 京畿(서울을 중심으로 한 사방의 땅) .

音祈 王畿象日 地方千里

) --> 

음이 기임. 왕의 京畿니 해를 形象했음. 地方(땅의 四方)이 천 리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