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兢兢】 禪林疏語考證一 詩小旻 註 兢兢 戒也 ▲禪林疏語考證一 兢兢謝過 翼翼承恩
긍긍(兢兢) 선림소어고증1. 시 소민 주(註) 긍긍(兢兢) 계(戒)다. ▲선림소어고증1. 긍긍(兢兢; 조심하고 주의하다)하며 사과하고 익익(翼翼; 조심하는 모양)하며 승은(承恩)하다.
) -->
【兢兢業業】 兢兢 戒謹也 履薄氷而懼陷 業業 恐懼也 蹈劒刃而恐傷 [禪林寶訓音義] ▲禪林寶訓三 俾後生晩進知前輩兢兢業業 以荷負大法爲心 如氷凌上行劍刃上走
긍긍업업(兢兢業業) 긍긍(兢兢)은 계근(戒謹; 조심하며 삼가다)이니 박빙을 밟으면서 빠질까 두려워함임. 업업(業業)은 공구(恐懼; 두려워하다)니 칼날을 밟으면서 상할까 두려워함임 [선림보훈음의]. ▲선림보훈3. 후생과 만진(晩進)으로 하여금 전배가 긍긍업업(兢兢業業)하며 대법을 하부(荷負; 짊어짐)함을 마음으로 삼되 마치 빙릉(氷凌; 얼음) 위를 행하고 검인(劍刃; 칼날) 위를 달림과 같았음을 알게 한다.
) -->
【兢兢切切】 謹愼恐懼貌 ▲五燈會元六洛浦元安 問 萬丈懸崖撒手去 如何免得喪於身時如何 師曰 須彌繫藕絲 曰 是何境界 師曰 刹竿頭上仰蓮心 曰 恁麽則湛湛澄澄去也 師曰 須彌頂上再翻身 曰 恁麽則兢兢切切去也
긍긍절절(兢兢切切) 근신하며 공구(恐懼; 두려워하다)하는 모양. ▲오등회원6 낙포원안. 묻되 만 장(丈)의 낭떠러지에서 손을 놓으면서 어찌해야 몸을 상실함을 면득(免得; 得은 조사)할까 할 때는 어떻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수미를 우사(藕絲; 연뿌리 속의 섬유)에 매었다. 가로되 이 어떤 경계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찰간의 두상에서 연심(蓮心)을 우러러본다. 가로되 이러하다면 곧 담담징징(湛湛澄澄)할 것입니다. 스님이 가로되 수미정상에서 거듭 몸을 뒤집어라. 가로되 이러하다면 곧 긍긍절절(兢兢切切)할 것입니다.
) -->
【肯堂】 禪林疏語考證一 書大誥曰 若考作室旣底法 厥子乃弗肯堂矧肯構 ▲禪林疏語考證一 肯堂念切 築室計疏
긍당(肯堂) 선림소어고증1. 서(상서) 대고에 가로되 만약 아버지가 집을 지으면서 이미 저법(底法; 법식을 확정)했는데 그 아들이 이에 긍당(肯堂; 堂基를 수긍하다)하지 않거늘 하물며 긍구(肯構)하겠는가. ▲선림소어고증1. 긍당(肯堂)의 생각이 간절하나 축실의 계획이 엉성하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93쪽 (0) | 2019.05.1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92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90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89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088쪽 (0) | 201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