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沂州】 山東沂州 因沂河而得名 沂州最早由北周置 治卽丘縣 隋移臨沂縣 其範圍曾包含過今魯南的臨沂全部 棗莊東部 魯中的沂源 新泰 還有魯東南的日照全部 以及蘇北一帶 [百度百科] △明一統志二十三山東兗州府曰 沂州在府城東三百六十里
기주(沂州) 산동 기주. 기하(沂河)로 인해 이름을 얻었음. 기주는 최조(最早)에 북주에서 설치함으로 말미암았음. 치소는 곧 구현(丘縣). 수에서 임기현으로 옮겼음. 그 범위는 일찍이 과거와 여금의 노남의 임기 전부ㆍ조장 동부ㆍ노중의 기원과 신태를 포함했으며 도리어 노 동남의 일조 전부 그리고 소북 일대가 있음 [백도백과]. △명일통지23 산동 연주부에 가로되 기주(沂州)는 부성(府城) 동쪽 360리에 있다.
) -->
【蘄州】 位於湖北省黃州府揚子江邊 隣接於安徽省江西省 此州有四祖道信駐錫的雙峰山正覺寺 與五祖弘忍所住的憑茂山 又有黃梅山 三角山 烏牙山等
기주(蘄州) 호북성 황주부 양자강변에 위치함. 안휘성과 강서성에 인접했음. 이 주에 4조 도신이 주석했던 쌍봉산 정각사와 5조 홍인이 거주했던 바의 빙무산이 있음. 또 황매산ㆍ삼각산ㆍ오아산 등이 있음.
) -->
【機籌】 指計謀 計策 籌 計謀 ▲汾陽語錄下 行脚僧 五湖四海盡曾遊 自在縱橫不繫舟 今日忽因屛上看 人人總持用機籌
기주(機籌) 계모, 계책을 가리킴. 주(籌)는 계모. ▲분양어록하. 행각승 오호사해를 모두 일찍이 유람했으며/ 종횡에 자재하여 매지 아니한 배다/ 금일에 홀연히 병상(屛上)에서 봄으로 인해/ 사람마다 모두 운용하는 기주(機籌)를 가졌다.
) -->
【夔州臥龍字水禪師語錄】 三卷 明代臨濟宗僧字水圓䂐說 觀誰等錄 崇禎一二年(1639)序刊 卷首載序 啓 卷一 從住夔州新寧縣指月禪院 至夔州新寧縣牛山廣福禪院之六會語錄 卷二 小參 晩參 示衆 機緣 法語 規約 佛事 卷三 書問 頌古 分鐙偈 雜偈 卷末附行狀 今收錄於嘉興藏第二十九冊
기주와룡자수선사어록(夔州臥龍字水禪師語錄) 3권. 명대 임제종승 자수원졸(字水圓䂐)이 설하고 관수 등이 기록했음. 숭정 12년(1639) 처음 간행했음. 권수에 서ㆍ계가 실렸음. 권1은 기주 신녕현 지월선원에 주(住)함으로부터 기주 신녕현 우산의 광복선원에 이르기까지의 6회(會) 어록. 권2는 소참ㆍ만참ㆍ시중ㆍ기연ㆍ법어ㆍ규약ㆍ불사. 권3은 서문ㆍ송고ㆍ분등게ㆍ잡게. 권말에 행장이 첨부되었음. 지금 가흥장 제29책에 수록되었음.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39쪽 (0) | 2019.05.1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38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36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35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34쪽 (0) | 201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