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41쪽

태화당 2019. 5. 10. 10:15

起七指以首七 二七 三七 四七 五七 六七 七七日爲克期的修鍊齋食等法會之開始 禪門鍛鍊說 若欲起七 入室爲先

기칠(起七) 수칠(首七)2칠ㆍ3칠ㆍ4칠ㆍ5칠ㆍ6칠ㆍ7칠일(七日)을 극기로 삼는 수련이나 재식 등의 법회의 개시를 가리킴. 선문단련설. 만약 기칠(起七)하고 싶으면 입실이 우선이 된다.

) --> 

祗陀祇陀 五燈會元十四芙蓉道楷 晝入祗陀之苑 皓月當天

기타(祗陀) 기타(祇陀)와 같음. 오등회원14 부용도해. 낮에 기타(祗陀)의 원()에 들어갔더니 호월(皓月)이 당천(當天)했다.

) --> 

祇陀<> Jeta 卽祇陀太子 列祖提綱錄十芙蓉楷 晝入祇陀之苑 皓月當天 夜登靈鷲之山 太陽溢目

기타(祇陀) <> Jeta. 곧 기타태자. 열조제강록10 부용해. 낮에 기타(祇陀)의 원(; 동산)에 드니 호월(皓月; 밝은 해)이 하늘에 당했고 밤에 영취(靈鷲)의 산에 오르니 태양이 눈에 넘친다.

) --> 

祇陀林祇陀卽祇洹 以林樹是祇陀所施故稱祇陀林 五燈全書七十四兜率本圜 山河奏乾闥婆之琴聲 草木含祇陀林之金色

기타림(祇陀林) 기타는 곧 기원이니 숲의 나무를 이 기타가 보시한 것이기 때문에 고로 기타림으로 일컬음. 오등전서74 도솔본원. 산하는 건달바(乾闥婆)의 금성(琴聲; 거문고 소리)을 연주하고 초목은 기타림(祇陀林)의 금색을 머금었다.

) --> 

祇陀太子又作祇多太子 逝多太子 制多太子 此云勝太子 戰勝太子 中印度舍衛國波斯匿王之皇太子 太子將其所有之祇園 獻納佛陀 長者須達在此建立祇園精舍 太子後被異母弟毘琉璃王所殺 [中阿含二十八敎化病經 增一阿含經二十六 法句譬喩經一] 祖庭事苑四 祇園 祇 此言勝氏 梵云僧伽藍摩 此言衆園 祇園寺之通稱 由祇陀太子園造佛精舍 因以爲名

기타태자(祇陀太子) 또 기다태자ㆍ서다태자ㆍ제다태자로 지음. 여기에선 이르되 승태자(勝太子)ㆍ전승태자(戰勝太子)니 중인도 사위국 파사닉왕의 황태자임. 태자가 그의 소유인 기원(祇園)을 가져 불타에게 헌납하였으며 장자 수달이 여기에 있으면서 기원정사를 건립했음. 태자는 후에 이모(異母)의 동생인 비류리왕(毘琉璃王)에게 살해되는 바를 입었음 [중아함28교화병경. 증일아함경26. 법구비유경1]. 조정사원4. 기원(祇園) ()는 여기말로는 승씨(勝氏). 범어로 이르되 승가람마(僧伽藍摩)는 여기 말로는 중원(衆園). 기원은 절의 통칭이니 기타태자원(祇陀太子園)에 불타의 정사를 조성함으로 말미암아 인하여 이름으로 삼았음.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