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狤獠舌頭】 見吉嘹舌頭 ▲宏智廣錄一 丙丁童子來求火 南海波斯鼻孔大 狤獠舌頭會者難 直下而今照得破
길료설두(狤獠舌頭) 길료설두(吉嘹舌頭)를 보라. ▲굉지광록1. 병정동자가 와서 불을 구함이여/ 남해의 파사(波斯)는 콧구멍이 크다/ 길료설두(狤獠舌頭)를 아는 자가 어렵나니/ 직하에서 이금(而今)에 비추어 깨뜨림을 얻었다.
) -->
【狤獠祖】 指六祖慧能 狤獠 古代少數民族名 宋史蠻夷傳一西南溪峒諸蠻上 寳元二年(1039) 辰州狤獠三千餘人款附 ▲宏智廣錄九 黃梅之衣欲傳兮 狤獠祖步移碓桯
길료조(狤獠祖) 6조 혜능을 가리킴. 길료는 고대 소수민족의 이름. 송사 만이전1 서남계동제만상. 보원 2년(1039) 진주의 길료 3천여 인이 관부(款附; 정성스런 마음으로 歸附)했다. ▲굉지광록9. 황매의 옷을 전하려 하자 길료조(狤獠祖)가 걸음을 대정(碓桯; 방앗공이)으로 옮겼다.
) -->
【吉利】 與吉祥同義 ▲元賢廣錄一 山僧趂日子吉利
길리(吉利) 길상과 같은 뜻. ▲원현광록1. 산승은 일자(日子; 날짜)의 길리(吉利)를 쫓는다.
) -->
【吉甫】 見尹吉甫 ▲祖庭事苑三 烝民之詩云 吉甫作誦 穆如淸風
길보(吉甫) 윤길보를 보라. ▲조정사원3. 증민의 시에 이르되 길보(吉甫)가 작송했는데 화목하기가 청풍과 같다.
) -->
【吉山明兆】 (1352-1431) 日本臨濟宗佛畫師 淡路(兵庫縣)人 號破草鞋 赤脚子 師事東福寺之大道 後任東福寺殿司 故世稱兆殿司 師擅長佛畫 肖像畫 由於將軍義持之協助 得以大幅製作 師之繪畫 多採宋代李龍眠及元代顔輝之畫風 爲墨畫之先驅 其五百羅漢圖 涅槃圖 聖一國師像 四十祖像等 今收藏於東福寺中 永享三年入寂 壽八十
길산명조(吉山明兆) (1352-1431) 일본 임제종 불화사(佛畫師). 담로(병고현) 사람. 호는 파초혜ㆍ적각자. 동복사의 대도를 사사(師事)했고 후에 동복사 전사(殿司)를 맡았음. 고로 세칭이 조전사임. 스님은 불화와 초상화에 천장(擅長; 홀로 特長을 갖춤)했음. 장군 의지의 협조를 말미암아 대폭으로 제작함을 얻었음. 스님의 회화는 다분히 송대 이룡면 및 원대 안휘의 화풍을 채용했음. 묵화의 선구가 됨. 그의 오백라한도ㆍ열반도ㆍ성일국사상ㆍ사십조상 등은 지금 동복사 가운데 수장되었음. 영향 3년에 입적했음. 나이는 80.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51쪽 (0) | 2019.05.10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50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48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47쪽 (0) | 2019.05.10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1146쪽 (0) | 2019.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