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9책(ㅊㅍ)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478쪽

태화당 2019. 12. 19. 10:46

出息不保入息形容無常迅速 出息 指呼氣 入息 指吸氣 傳燈錄十九雲門文偃 時不待人 出息不保入息

출식불보입식(出息不保入息) 무상이 신속함을 형용함. 출식(出息)은 호기(呼氣; 기운을 내붊. 내쉬는 숨)를 가리키며 입식(入息)은 흡기(吸氣; 빨아들이는 기운. 들이쉬는 숨)를 가리킴. 전등록19 운문문언. 시절이 사람을 기다리지 않나니 날숨이 들숨을 보장하지 못한다(出息不保入息).

) --> 

出身省悟 徹悟 祖堂集八曹山 僧問 學人自到和尙此間 覓个出身處不得 乞和尙指示个出身路 五燈會元二十龍翔士珪 汝等諸人 未得箇入頭 須得箇入頭 旣得箇入頭 須有出身一路始得 大衆 且作麽生是出身一路

출신(出身) 성오(省悟). 철오(徹悟). 조당집8 조산. 중이 묻되 학인이 스스로 화상의 차간(此間)에 이르러 출신처(出身處)를 찾았으나 얻지 못했으니 화상이 출신로(出身路)를 지시하시기를 구걸합니다. 오등회원20 용상사규. 너희 등 제인이 입두(入頭)를 얻지 못했다면 모름지기 입두를 얻어야 하고 이미 입두를 얻었다면 꼭 출신일로(出身一路)가 있어야 비로소 옳다. 대중이여 그래 무엇이 이 출신일로인가.

) --> 

出身句濟宗十三種句之一 五家宗旨纂要上濟宗十三種句 二出身句 今日且去 明日再來

출신구(出身句) 제종 13종구(十三種句)의 하나. 오가종지찬요상 제종십삼종구. 2. 출신구(出身句) 금일은 다만 가고 명일 다시 오너라.

) --> 

出身猶可易脫體道應難碧巖錄第四十六則種電鈔云 出聲色猶可易 本分全體一句 於聲色上道著應難 碧巖錄第四十六則 鏡淸問僧 門外是什麽聲 僧云 雨滴聲 淸云 衆生顚倒迷己逐物 僧云 和尙作麽生 淸云 洎不迷己 僧云 洎不迷己意旨如何 淸云 出身猶可易 脫體道應難

출신유가이탈체도응난(出身猶可易脫體道應難) 벽암록 제46칙 종전초에 이르되 성색(聲色)을 내기는 오히려 가히 쉽지만 본분의 전체의 1구를 성색상(聲色上)에서 도착(道著; 말하다)하기는 응당 어렵다. 벽암록 제46. 경청이 중에게 묻되 문밖에 이 무슨 소리인가. 중이 이르되 빗방울 소리입니다. 경청이 이르되 중생이 전도하여 자기를 미혹하여 사물을 쫓아가는구나. 중이 이르되 화상은 어떻습니까. 경청이 이르되 하마터면 자기를 미혹하지 않을 뻔했다(洎不迷己). 중이 이르되 하마터면 자기를 미혹하지 뻔했다는 의지가 무엇입니까. 경청이 이르되 몸에서 내기는 오히려 가히 쉽지만 탈체(脫體; 전체)를 말하기는 응당 어렵다(出身猶可易脫體道應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