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9책(ㅊㅍ)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677쪽

태화당 2019. 12. 21. 11:26

太白峰祖庭事苑四 太白 四明(浙江)之天童峰名 明覺語錄六 送僧歸天童 峨峨太白峰 倚翠列霄岸 羨君乘興歸 凭欄與誰看

태백봉(太白峰) 조정사원4. 태백(太白) 사명(절강)의 천동의 봉우리 이름임. 명각어록6. 송승귀천동(送僧歸天童) 아아(峨峨)한 태백봉(太白峰)/ 푸름에 기대어 소안(霄岸)에 나열했다/ 흥을 타고 귀환하는 그대가 부럽나니/ 난간에 기대어 누구와 더불어 볼까.

) --> 

太白山位於浙江省寧波府鄞縣陽堂鄕太白里 支那五山之一

태백산(太白山) 절강성 영파부 은현 양당향 태백리에 위치함. 지나 5산의 하나.

) --> 

太白雪淸代臨濟宗僧行雪 字太白 詳見行雪

태백설(太白雪) 청대 임제종승 행설의 자가 태백이니 상세한 것은 행설(行雪)을 보라.

) --> 

太保官職名 西周始置 監護與輔弼國君之官 位次太傅 歷代沿置 史載商王太甲以伊尹爲太保 周成王以召公爲太保 明史載 太師太傅太保爲三公 正一品 淸代爲正一品 [百度百科] 五燈會元十永明道潛 太保令公問 如何是慧日祥光

태보(太保) 관직의 이름이니 서주(西周)에서 처음 설치했고 국군(國君)을 감호(監護)하고 아울러 보필하는 관직이니 지위가 태부(太傅)의 다음이었음. 역대에 따라서 설치했음. 사기의 기재에 상왕(商王) 태갑은 이윤(伊尹)을 태보로 삼았고 주성왕(周成王)은 소공(召公)을 태보로 삼았음. 명사(明史)의 기재엔 태사(太師)ㆍ태부(太傅)ㆍ태보(太保)3()으로 삼았고 정1품이며 청대에도 정1품이 되었음 [백도백과]. 오등회원10 영명도잠. 태보(太保) 영공(令公)이 묻되 무엇이 이 혜일(慧日)의 상광(祥光)입니까.

) --> 

台輔祖庭事苑三 台輔 春秋曰 三公上應三台星(上台星 中台星 下台星) 故曰台輔 明覺語錄五 緬想當時二台輔 出鎭藩維訪諸祖 寥寥浮幻輕百年 落落宏規照千古

태보(台輔) 조정사원3 태보(台輔) 춘추에 가로되 삼공(三公)은 위로 삼태성(三台星; 상태성ㆍ중태성ㆍ하태성)에 응하는지라 고로 가로되 태보(台輔). 명각어록5. 아득히 당시의 두 태보(台輔)를 생각하노니/ 번유(藩維)에 출진(出鎭; 나가서 지방장관에 임명됨)하여 여러 조사를 참방했다/ 요료(寥寥)한 부환(浮幻; 떠 있는 환영)이 가볍게 백 년이지만/ 낙락(落落)한 굉규(宏規)가 천고를 비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