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9책(ㅊㅍ)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678쪽

태화당 2019. 12. 21. 11:27

太僕周官有太僕 掌正王之服位 出入王命 爲王左馭而前驅 秦漢沿置 爲九卿之一 爲天子執御 掌輿馬畜牧之事 南朝不常置 北齊始稱太僕寺卿 少卿 歷代沿置 淸廢 [周禮夏官太僕 漢書百官公卿表 通典職官七] 五燈全書八十七妙湛尼寶持總 郡之金氏女 隋州太僕之冢媳 夫亡脫俗 力參有省

태복(太僕) 주관(周官)에 태복(太僕)이 있으며 왕의 복위(服位)를 장정(掌正)했고 왕명을 출입했고 왕을 위해 좌어(左馭)하면서 전구(前驅)했음. 진한(秦漢)도 따라 설치했고 9()의 하나가 됨. 천자를 위해 집어(執御)하고 여마(輿馬)와 축목(畜牧)의 일을 관장했음. 남조(南朝)는 상치(常置)하지 않았고 북제(北齊)에서 처음으로 태복시경(太僕寺卿)ㆍ소경(少卿)을 일컬었음. 역대에 따라 설치했고 청에서 폐했음 [주례하관태복. 한서백관공경표. 통전직관7]. 오등전서87 묘담니 보지총. ()의 금씨의 딸이니 수주(隋州) 태복(太僕)의 총식(冢媳; 며느리)이다. 지아비가 죽자 탈속(脫俗)했고 역참(力參)하여 깨침이 있었다.

) --> 

太僕卿官名 始置於春秋 稱太僕 秦漢沿襲 爲九卿之一 掌皇帝的輿馬和馬政 王莽一度更名爲太御 梁武帝天監七年(508) 將九卿增設爲十二卿 太僕卿由此得名 北齊始稱太僕寺卿 南宋時 太僕寺並入兵部 [百度百科] 五燈全書一百十三中也淨慈 太僕卿李陳玉譔碑

태복경(太僕卿) 벼슬 이름. 춘추에 처음 설치했고 명칭이 태복이었음. 진한(秦漢)에서 연습(沿襲; 전례를 따라서 함)했고 9()의 하나가 되었음. 황제의 여마(輿馬)와 마정(馬政; 말의 개량ㆍ번식에 관한 행정)을 관장했음. 왕망(王莽)이 한 차례 이름을 바꾸어 태어(太御)라 했음. 양무제 천감 7(508) 9경을 가지고 증설하여 12경으로 삼았고 태복경은 이로 말미암아 이름을 얻었음. 북제(北齊)에서 처음으로 태복시경(太僕寺卿)을 일컬었고 남송 때 태복시는 모두 병부(兵部)에 들어갔음 [백도백과]. 오등전서113 중야정자. 태복경(太僕卿) 이진옥 찬비(譔碑).

) --> 

太府周禮天官有大府 掌府藏會計 秦漢並其職於司農少府 南朝梁置太府卿 專管皇室的庫儲出納 北齊曰太府寺 北周有太府中大夫 掌貢賦貨賄 唐曾改太府爲外府 掌國家錢穀的保管出納 旋復舊 宋以太府半屬國家行政 半屬宮廷事務 遼金元改宋以前的太府寺爲太府監 明廢 參閱通典職官八 續通典職官八 [百度百科] 宗杲語錄下 右承務郞守太府寺丞 王(之奇)

태부(太府) 주례(周禮) 천관(天官)에 태부(大府)가 있으며 부장(府藏)과 회계를 관장했음. 진한(秦漢)은 모두 그것이 사농소부(司農少府)의 관직이었음. 남조(南朝) ()에서 태부경을 설치했고 오로지 황실의 고저(庫儲)의 출납을 관장했음. 북제에선 가로되 태부시(太府寺)라 했고 북주엔 태부중대부(太府中大夫)가 있었고 공부(貢賦)와 화회(貨賄)를 관장했음. ()에선 일찍이 태부를 고쳐 외부(外府)라 했고 국가의 전곡(錢穀)의 보관과 출납을 관장했는데 이윽고 복구(復舊)했음. ()은 태부를 반은 국가의 행정에 귀속하고 반은 궁정의 사무에 귀속했음. 요ㆍ금ㆍ원은 송 이전의 태부시를 고쳐 태부감으로 만들었음. 명에서 폐했음. 통전직관8과 속통전직관8을 참열(參閱)하라 [백도백과]. 종고어록하. 우승무랑 수태부시승(守太府寺丞) (; 之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