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9책(ㅊㅍ)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760쪽

태화당 2019. 12. 22. 17:03

投赤水以尋珠就荊山而覓玉赤水 中國神話傳說中的河名 産寶珠 荊山 山名 在今湖北省南漳懸西部 漳水發源于此 山有抱玉岩 傳爲楚人卞和得璞處 此語意爲要想得到寶珠 須得到赤水去尋 要想得到寶玉 須得到荊山去覓 比喩求佛法須得到眞佛處 五燈會元六黃山月輪 祖師西來 特唱此事 自是諸人不薦 向外馳求 投赤水以尋珠 就荊山而覓玉

투적수이심주취형산이멱옥(投赤水以尋珠就荊山而覓玉) 적수(赤水)는 중국 신화 전설 중의 하명(河名)이며 보주(寶珠)가 산출됨. 형산(荊山)은 산명(山名)이며 지금 호북성 남쪽 장현(漳懸)의 서부에 있으며 장수(漳水)가 여기에서 발원(發源). 산에 포옥암(抱玉岩)이 있고 전하기를 초()나라 사람 변화(卞和)가 박()을 얻은 곳임. 이 말의 뜻은 보주(寶珠)에 득도(得到)하기를 요상(要想)한다면 반드시 적수에 득도하여 가서 찾고 보옥에 득도하기를 요상한다면 반드시 형산에 득도하여 가서 찾으라 함이니 불법을 구하려면 반드시 진불(眞佛)의 처소에 득도해야 함에 비유함. 오등회원6 황산월륜. 조사가 서래하여 이 일을 특창(特唱)했으나 스스로 이 제인이 불천(不薦)하여 밖을 향해 치구(馳求)하나니 적수에 투입하여 보주를 찾고 형산에 나아가 보옥을 찾아야 하리라(投赤水以尋珠 就荊山而覓玉).

) --> 

鬪飣餖飣 鬪 通餖 山菴雜錄下 近世有一種剃頭外道 掇拾佛祖遺言 闘飣成帙 目之曰語錄

투정(鬪飣) 두정(餖飣; 1. 식품을 소반에 첩첩이 陳設. 2. 詞句의 안배와 나열을 가리킴). ()는 두()와 통함. 산암잡록하. 근세에 일종의 체두외도(剃頭外道)가 있어 불조의 유언(遺言)을 철습(掇拾)하여 투정(闘飣)하고 성질(成帙)하여 명목해 가로되 어록이라 한다.

) --> 

透祖師關通過祖師的禪機關門 指契合領悟祖師禪法 法演語錄上 上堂云 幸然無一事 行脚要參禪 却被禪相惱 不透祖師關 如何是祖師關 把火入牛欄

투조사관(透祖師關) 조사의 선기(禪機)의 관문을 통과함. 조사의 선법에 계합하고 영오함을 가리킴. 법연어록상. 상당해 이르되 행연(幸然)1()도 없거늘 행각하며 참선을 요하다가 도리어 선()에 상뇌(相惱)함을 입어 조사관을 투과(透祖師關)하지 못한다. 무엇이 이 조사관인가. 불을 잡고 우란(牛欄; 소의 우리)에 들어가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