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9책(ㅊㅍ)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913쪽

태화당 2019. 12. 24. 10:09

閉門造車出門合轍門內制造車輛 使用時也能和路上的車轍完全相合 比喩閉門修法 可以獲得圓滿功果 卽能普度衆生 傳燈錄十九大錢從襲 問 閉門造車出門合轍 如何是閉門造車 師曰 造車卽不問汝 作麽生是轍 曰 學人不會 乞師指示 師曰 巧匠施工 不露斤斧

폐문조거출문합철(閉門造車出門合轍) 문 안에서 거량(車輛; 수레)을 제조하여 사용할 때 또한 능히 노상의 거철(車轍)과 화응하여 완전히 상합(相合)함이니 폐문하고 수법(修法)하매 가이(可以) 원만한 공과(功果)를 획득하여 곧 능히 중생을 보도(普度)함에 비유함. 전등록19 대전종습. 문되 폐문하고 수레를 만들어 출문하여 합철한다(閉門造車出門合) 하니 무엇이 이 폐문하고 수레를 만듦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수레를 만듦은 곧 너에게 묻지 않는다. 무엇이 이 철()인가. 가로되 학인이 알지 못하니 스님의 지시를 구걸합니다. 스님이 가로되 교장(巧匠)이 시공(施工)하면 근부(斤斧; 도끼)를 드러내지 않는다.


閉門婆唐女居士 臨濟到京行化 至一家門首曰 家常添鉢 有婆曰 太無厭生 臨濟曰 飯也未曾得 何言太無厭生 婆便閉門 [優婆夷志]

폐문파(閉門婆) ()의 여거사(女居士). 임제가 경사(京師)에 이르러 행화(行化)하다가 한 집의 문수(門首)에 이르러 가로되 가상(家常)을 발우에 더하십시오. 어떤 노파가 가로되 태무염생(太無厭生)입니다. 임제가 가로되 밥도 또한 일찍이 얻지 못했거늘 왜 태무염생이라고 말합니까. 노파가 바로 문을 닫았음 [우바이지].

) --> 

吠舍<> vaiśya 又作吠奢 舊作鞞舍 毘舍 天竺四姓第三商賈之族也 祖庭事苑七 毘舍 或云吠舍 此云商賈 又云坐 謂坐賈也 天竺多重寶貨 此等營求積財巨億 坐而出納故以爲名

폐사(吠舍) <> vaiśya. 또 폐사(吠奢)로 지음. 구역(舊譯)에 비사(鞞舍)ㆍ비사(毘舍)로 지었음 천축 4()의 제3 상고(商賈)의 족(). 조정사원7. 비사(毘舍) 혹은 이르되 폐사(吠舍)니 여기에선 이르되 상고(商賈)며 또 이르되 좌()니 이르자면 좌고(坐賈). 천축에 귀중한 보화(寶貨)가 많으며 이것 등을 영위(營爲)하며 구해 적재(積財)가 거억(巨億)이라 앉아서 출납하므로 고로 이름을 삼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