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3쪽

태화당 2019. 12. 25. 13:20

寒山子見寒山 雲門廣錄中 一日云 今日十五入夏也 寒山子作麽生 代云 和尙問寒山 學人對拾得

한산자(寒山子) 한산(寒山)을 보라. 운문광록중. 어느 날 이르되 금일은 15일이니 입하(入夏). 한산자(寒山子)가 어떠한가. 대운(代云)하되 화상이 한산을 물으시니 학인은 습득으로 상대하겠습니다.

) --> 

寒殺殺 所八切 所拜切 表示程度深 洞山悟本語錄 僧問 寒暑到來 如何回避 師曰 何不向無寒暑處去 云 如何是無寒暑處 師曰 寒時寒殺闍黎 熱時熱殺闍黎

한살(寒殺) ()은 소팔절(所八切; ). 소배절(所拜切; )이니 정도의 깊음을 표시. 동산오본어록. 중이 묻되 한서(寒暑)가 도래하면 어떻게 회피합니까. 스님이 이르되 왜 한서가 없는 곳을 향해 가지 않느냐. 이르되 무엇이 이 한서가 없는 곳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추울 땐 사리(闍黎)를 너무 춥게(寒殺) 하고 더울 땐 사리를 너무 덥게 한다.

) --> 

汗杉夏季所被的薄衣 祖堂集十一睡龍道溥 泉州葛布 好造汗杉

한삼(汗杉) 하계에 입는 바의 박의(薄衣). 조당집11 수룡도부. 천주 갈포(葛布)는 한삼(汗杉)을 만들기에 좋다.


漢上泛指漢水和長江一帶 後來漢中文化興起 [百度百科] 五燈會元十一廣慧元璉 到首山 山問 近離甚處 師曰 漢上

한상(漢上) 널리 한수(漢水)와 장강 일대를 가리킴. 후래에 한중문화(漢中文化)가 흥기했음 [백도백과]. 오등회원11 광혜원련. 수산에 이르자 수산이 묻되 최근에 어느 곳을 떠났느냐. 스님이 가로되 한상(漢上)입니다.

) --> 

漢殤帝(105-106) 姓劉 名隆 漢和帝劉肇少子 養於民間 東漢第五位皇帝 登基時離出生剛滿百天 是中國歷史上繼位年齡最小的皇帝 一歲時夭折 諡號孝殤皇帝 [百度百科] 傳燈錄二第二十一祖婆修盤頭 尊者付法已 踊身高半由旬 屹然而住 四衆仰瞻虔請復坐跏趺而逝 荼毘得舍利建塔 當後漢殤帝十二年丁巳歲也(當作安帝十一年 蓋殤帝在位止一年耳)

한상제(漢殤帝) (105-106) 성은 유()며 이름은 륭()이니 한화제(漢和帝) 유조의 소자(少子). 민간에서 길러졌고 동한 제5위 황제. 등기(登基; 즉위) 시 출생(出生)을 여읜 지 겨우() 백천(百天; 100)을 채웠음. 이는 중국 역사상 계위(繼位) 연령이 가장 어린 황제며 1세 때 요절했음. 시호는 효상황제 [백도백과]. 전등록2 21조 바수반두. 존자가 부법한 다음 몸을 솟구쳐 높이가 반유순(半由旬)이었고 흘연(屹然; 우뚝 솟은 모양)히 머물렀다. 4()이 앙첨(仰瞻)하며 건청(虔請)하자 자리로 돌아와 가부하고 떠났다. 다비(荼毘; 와 통함)하여 사리를 얻어 탑을 세웠으니 후한(後漢) 상제(殤帝) 12년 정사세에 해당한다(마땅히 安帝十一年으로 지어야 함. 대개 殤帝는 재위가 1년에 그쳤을 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