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峰】 (1619-1697) 淸代臨濟宗僧 字骨巖 烏程(浙江湖州)溫氏 幼業儒 年二十一投舅氏陽山授出家 參玉林通琇得旨 康熙八年(1669) 應命主杭州崇福 遷湖州報恩 有語錄 [五燈全書八十一 揞黑豆集七 正源略集四]
행봉(行峰) (1619-1697) 청대 임제종승. 자는 골암(骨巖)이며 오정(절강 호주) 온씨. 어릴 적에 업유(業儒; 유학에 종사함)했고 나이 21에 구씨(舅氏; 외삼촌) 양산수에게 투신해 출가했고 옥림통수(玉林通琇)를 참해 득지(得旨)했음. 강희 8년(1669) 응명(應命)하여 항주 숭복을 주지(主持)했고 호주 보은으로 옮겼음. 어록이 있음 [오등전서81. 암흑두집7. 정원약집4].
) -->
행봉행갈(行棒行喝) ☞ 행방행할(行棒行喝).
【行琈】 (?-1685) 淸代臨濟宗僧 字石菴 嘉興(今屬浙江)楊氏 髫年禮一宿庵奈奈沛受業 謁費隱通容於徑山圓具 一夕坐香 鐘磬相接 豁然有契 未幾容再主嘉興福嚴 師受囑 出住蘇州德慶 繼席福嚴 遷金粟 佛日 [五燈全書七十一 正源略集五]
행부(行琈) (?-1685) 청대 임제종승. 자는 석암이며 가흥(지금 절강에 속함) 양씨. 초년(髫年; 어린 나이. 髫는 다박머리)에 일숙암 나나패를 예알하여 수업했고 비은통용(費隱通容)을 경산에서 배알하고 원구(圓具)했음. 어느 날 저녁 좌향(坐香)하다가 종경(鐘磬)이 상접(相接)하자 활연(豁然)히 계합이 있었음. 오래지 않아 통용이 가흥 복엄을 재주(再主)하자 스님이 부촉을 받고 출세해 소주 덕경에 거주했고 복엄을 계석(繼席)했다가 금속ㆍ불일로 옮겼음 [오등전서71. 정원약집5].
) -->
【行符】 淸代臨濟宗僧 字古鏡 萬如通微法嗣 住無錫南禪 [五燈全書七十二 正源略集五]
행부(行符) 청대 임제종승. 자는 고경이며 만여통미의 법사며 무석 남선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2. 정원약집5].
) -->
【行溥】 淸代臨濟宗僧 字竺堂 號大癡 通州(江蘇南通)李氏 自幼從水月閣空林出家 年二十一依三昧受具 歷參金粟 古南 龍池 夾山諸處 順治十五年(1658)詣善權 禮浮石通賢得法 康熙十二年(1673) 開法泰州海安西寺 未幾雉皋吳掄先 冒遠猷等 迎登菩提社 寂於宜興金沙 有竺堂溥禪師語錄三卷 詩一卷 [五燈全書七十七 江蘇詩徵一八○]
행부(行溥) 청대 임제종승. 자는 축당(竺堂)이며 호는 대치며 통주(강소 남통) 이씨(李氏). 어릴 적부터 수월각(水月閣) 공림을 좇아 출가했고 나이 21에 삼매에 의해 수구(受具)했음. 금속ㆍ고남ㆍ용지ㆍ협산 여러 곳을 역참(歷參)했음. 순치 15년(1658) 선권으로 나아가 부석통현(浮石通賢)을 참례하여 득법했음. 강희 12년(1673) 태주 해안서사(海安西寺)에서 개법했고 오래지 않아 치고(雉皋) 오륜선과 모원유 등이 영접해 보리사(菩提社)에 올랐음. 의흥 금사(金沙)에서 적(寂)했고 축당부선사어록 3권과 시1권이 있음 [오등전서77. 강소시징180].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4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3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1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80쪽 (0) | 2019.12.26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179쪽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