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16쪽

태화당 2019. 12. 27. 09:17

行浚淸代臨濟宗僧 字孤卓 長樂(今屬福建)劉氏 幼投龍山脫白 參鼓山聞鷄鳴有省 後禮報恩通賢得法 住天台通玄 遷紹興雲門 [五燈全書七十七]

행준(行浚) 청대 임제종승. 자는 고탁이며 장락(지금 복건애 속함) 유씨(劉氏). 어릴 적에 용산에 투입하여 탈백했고 고산을 참해 닭울음을 듣다가 성찰이 있었음. 후에 보은통현(報恩通賢)을 예알하여 득법했고 천태통현에 거주하다가 소흥 운문으로 옮겼음 [오등전서77].

) --> 

行俊淸代臨濟宗僧 字白嵩 宜興(今屬江蘇)周氏 參費隱通容得法 出住福州羅山法海 康熙十年(1671)遷雪峰 於宜興善權寂 [五燈全書七十一 正源略集五]

행준(行俊) 청대 임제종승. 자는 백숭이며 의흥(지금 강소에 속함) 주씨. 비은통용(費隱通容)을 참해 득법했고 출세해 복주 나산 법해에 거주했고 강희 10(1671) 설봉으로 옮겼고 의흥 선권에서 적()했음 [오등전서71. 정원약집5].

) --> 

行準淸代臨濟宗僧 字頑衲 蜀(四川)人 久在報恩通賢下居首座 出住登州千佛寺 [五燈全書七十七]

행준(行準) 청대 임제종승. 자는 완납이며 촉(; 사천) 사람. 오래 보은통현(報恩通賢) 아래 있으면서 수좌에 거처했고 출세해 등주 천불사에 주()했음 [오등전서77].

) --> 

行重(?-1648) 淸代臨濟宗僧 字退菴 高安(今屬江西)彭氏 幼隨父出家曲水庵 禮匡山太虛得度 參玉林通琇得旨 初住江陰敔山 後繼席湖州報恩寺 [五燈全書八十一 正源略集四]

행중(行重) (?-1648) 청대 임제종승. 자는 퇴암이며 고안(지금 강서에 속함) 팽씨. 어릴 적에 부친을 따라 곡수암에서 출가했고 광산태허를 예알하여 득도했고 옥림통수(玉林通琇)를 참해 득지(得旨)했음. 처음에 강음 어산에 거주했고 후에 호주 보은사를 계석(繼席)했음 [오등전서81. 정원약집4].

) --> 

行中書省見中書省 五燈全書五十四晦機元熙 至大(1308-1311)初 應淨慈請入院日 行中書省 行宣政院官屬 悉迎請 發揚宗旨 四方英衲 一時輻輳 

행중서성(行中書省) 중서성(中書省)을 보라. 오등전서54 회기원희. 지대(1308-1311) 정자의 청에 응해 입원하던 날, 행중서성(行中書省)과 행선정원의 관속(官屬)이 모두 영청(迎請)했고 종지를 발양(發揚)하매 사방의 영납(英衲)이 일시에 복주(輻輳)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