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中仁】 明代臨濟宗僧至仁 字行中 詳見至仁
행중인(行中仁) 명대 임제종승 지인의 자가 행중이니 상세한 것은 지인(至仁)을 보라.
) -->
【行楫】 淸代臨濟宗僧 字古帆 萬如通微法嗣 住荊溪寶山 [五燈全書七十二]
행즙(行楫) 청대 임제종승. 자는 고범이며 만여통미의 법사며 형계 보산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2].
) -->
【行證】 修行與證悟 依於行道而證理也 行者因 證者果 ▲廣燈錄四第二十祖闍夜多 道由行證 必獲聖果
행증(行證) 수행과 증오(證悟)니 행도(行道)에 의해 증리(證理)함. 행(行)이란 것은 인(因)이며 증(證)이란 것은 과(果)임. ▲광등록4 제20조 사야다. 도는 행증(行證)을 말미암아 반드시 성과(聖果)를 획득한다.
) -->
【行持】 謂精勤修行 持守佛法戒律 ▲祖堂集十三報慈 因僧辭 師問 六根無用底人 還有行持佛法也無
행지(行持) 이르자면 정근하며 수행하고 불법의 계율을 지수(持守)함. ▲조당집13 보자. 중이 고별함으로 인해 스님이 묻되 6근(根)을 씀이 없는 사람이 도리어 불법을 행지(行持)함이 있느냐 또는 없느냐.
) -->
【行志】 (?-1671) 淸代臨濟宗僧 字劍龍 寧波(今屬浙江)陳氏 依費隱通容受法 住明州雲溪 [五燈全書七十一補遺]
행지(行志) (?-1671) 청대 임제종승. 자는 검룡이며 영파(지금 절강에 속함) 진씨. 비은통용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명주 운계에 거주했음 [오등전서71보유].
) -->
【行地】 (1616-1666) 淸代臨濟宗僧 字祖山 文安(今屬河北)劉氏 薙染於昌平淸淨庵 南遊首謁天童圓悟 苦切參究 忽有省入 復參玉林通琇於報恩 餘礙盡釋 尋因省母北歸 得西山弘敎寺舊址 刈茅以棲 及玉林應世祖詔 遂隨侍萬善殿 奏對稱旨 命易弘敎爲法海禪寺 賜碑額並紫衣 [五燈全書八十一 正源略集四]
행지(行地) (1616-1666) 청대 임제종승. 자는 조산이며 문안(지금 하북에 속함) 유씨(劉氏). 창평 청정암에서 치염(薙染)했고 남유(南遊)하다가 처음 천동원오를 참알해 고절(苦切; 간절)히 참구하여 홀연히 성입(省入)이 있었음. 다시 옥림통수(玉林通琇)를 보은에서 참해 나머지 애응(礙膺)을 모두 풀었음. 이윽고 성모(省母)로 인해 북귀(北歸)하였다가 서산의 홍교사(弘敎寺) 구지(舊址)를 얻어 예모(刈茅)하고 살았음. 옥림이 세조의 부름에 응하자 드디어 만선전(萬善殿)에 수시(遂隨)했고 주대(奏對)에 칭지(稱旨)했고 명해 홍교를 바꾸어 법해선사(法海禪寺)라 하고 비액(碑額)과 아울러 자의(紫衣)를 주었음 [오등전서81. 정원약집4].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19쪽 (0) | 2019.12.27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18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16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15쪽 (0) | 2019.12.27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214쪽 (0) | 2019.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