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顯命】 對上天旨意或天子詔命的美稱 ▲禪林疏語考證二 一朝顯命深懷踧踖之憂
현명(顯命) 상천(上天)의 지의(旨意) 혹 천자의 조명(詔命)에 대한 미칭. ▲선림소어고증2. 하루아침의 현명(顯命)에 깊이 축적(踧踖)의 근심을 품는다.
) -->
【顯謨】 顯謨閣 宋代所建 又指顯謨閣學士 ▲大慧語錄二十九 答徐顯謨(稚山)
현모(顯謨) 현모각이니 송대에 건립한 것이며 또 현모각 학사를 가리킴. ▲대혜어록29. 답서현모(答徐顯謨; 稚山).
) -->
【顯謨閣】 宋哲宗元符元年(1098)所建 專藏宋神宗御制御書 ▲洪覺範林間錄序 謝逸撰 盖赴顯謨閣待制朱公之請云 大觀元年(1107) 十一月一日序
현모각(顯謨閣) 송 철종 원부 원년(1098)에 건립한 것이니 송 신종의 어제어서(御制御書)를 전장(專藏)했음 ▲홍각범 임간록서. 사일(謝逸)이 찬(撰)하다. 대개 현모각(顯謨閣) 대제(待制) 주공(朱公)의 청에 다다랐다. 대관 원년(1107) 11월 1일 서(序).
) -->
【玄武】 靑龍白虎朱雀和玄武又稱四象 漢族神話中的四方之神靈 玄武是一種由龜和蛇組合成的一種靈物 [百度百科] ▲祖庭事苑三 魏有東靑龍 南朱雀 西白虎 北玄武 畿內黃龍 亦信也
현무(玄武) 청룡ㆍ백호ㆍ주작과 현무는 또 호칭이 4상(象)이니 한족 신화 중의 사방의 신령(神靈)인데 현무는 이 일종의 거북과 뱀의 조합(組合)으로 말미암아 합성된 일종의 영물임 [백도백과]. ▲조정사원3. 위(魏)에선 동은 청룡이며 남은 주작(朱雀; 남방 星宿의 이름. 붉은 봉황으로 형상화하였음)이며 서는 백호며 북은 현무(玄武)며 기내(畿內)는 황룡이 있었으니 또한 신표다.
) -->
【玄門】 玄妙之法門也 總以名佛法 ▲五燈會元十五承天惟簡 夫遮那之境界 衆妙之玄門 知識說之而莫窮 善財酌之而不竭 文殊體之而寂寂 普賢證之以重重
현문(玄門) 현묘한 법문이니 총합(總合)하여 이름이 불법임. ▲오등회원15 승천유간. 무릇 자나(遮那)의 경계는 중묘(衆妙)의 현문(玄門)이니 지식이 이를 설하매 궁진(窮盡)하지 못하고 선재가 이를 짐작하매 고갈하지 않고 문수가 이를 체달(體達)하매 적적(寂寂)하고 보현이 이를 증득하매 중중(重重)하다.
) -->
【玄微】 幽玄微妙 ▲碧巖錄序 不逢大匠 焉悉玄微
현미(玄微) 유현(幽玄)하고 미묘함. ▲벽암록서. 대장(大匠)을 만나지 못하면 어찌 현미(玄微)를 알겠는가.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07쪽 (0) | 2019.12.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06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04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03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02쪽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