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刑錯】 亦作刑措 亦作刑厝 置刑法而不用 ▲鐔津文集五 天下有刑錯之風
형조(刑錯) 또한 형조(刑措)로 지으며 또한 형조(刑厝)로 지음. 형법을 방치하고 사용하지 않음. ▲심진문집5. 천하에 형조지풍(刑錯之風; 錯는 둘 조)이 있었다.
) -->
【邢州】 今河北省邢臺
형주(邢州) 지금의 하북성 형대.
) -->
【衡州】 今湖南省衡陽縣 北有五嶽之一衡山 隣接湘水瀟水 有大慧宗杲所住鐵岡寺 開福寺 龐蘊居士所住龐山寺等
형주(衡州) 지금의 호남성 형양현. 북에는 5악의 하나인 형산이 있고 상수(湘水)와 소수(瀟水)에 인접했음. 대혜종고가 거주한 바의 철강사(鐵岡寺)ㆍ개복사(開福寺), 방온거사가 거주한 바의 방산사(龐山寺) 등이 있음.
) -->
【荊州】 今湖北省長江北岸荊州府江陵縣 北接漢水流域 自古爲南北交通之要衝 白馬寺 長沙寺 天皇寺 竹林寺 承天寺 永泰寺 及天台智顗大通神秀所住玉泉寺等 並在此地
형주(荊州) 지금의 호북성 장강 북안의 형주부 강릉현이니 북으로 한수(漢水) 유역(流域)과 인접했고 자고로 남북 교통의 요충(要衝)이 되었음. 백마사ㆍ장사사ㆍ천황사ㆍ죽림사ㆍ승천사ㆍ영태사 및 천태지의(天台智顗)와 대통신수(大通神秀)가 거주했던 바의 옥천사(玉泉寺) 등이 모두 이 지역에 있음.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73쪽 (0) | 2019.12.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72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70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69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68쪽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