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藥恭】 宋代僧元恭 嗣黃龍慧南 出世衡州花藥 [普燈錄四 續燈錄十三]
화약공(華藥恭) 송대승 원공(元恭)이니 황룡혜남을 이었고 형주 화약에서 출세했음 [보등록4. 속등록13].
) -->
【花藥欄】 芍藥牡丹等花卉 以竹木圍其四周者 ▲禪門拈頌集第一○一七則 雲門因僧問 如何是淸淨法身 師云 花藥欄 僧云 便恁麽去時如何 師云 金毛師子
화약란(花藥欄) 작약 모란 등의 화훼에 죽목으로 그 사주(四周; 사방의 둘레)를 두른 것. ▲선문염송집 제1017칙. 운문이,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청정법신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화약란(花藥欄)이다. 중이 이르되 바로 이렇게 갈 때 어떻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금모사자(金毛師子)다.
) -->
【華藥朋】 宋代曹洞宗僧智朋 曾住衡州華藥 詳見智朋
화약붕(華藥朋) 송대 조동종승 지붕이 일찍이 형주 화약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지붕(智朋)을 보라.
) -->
【花藥英】 宋代黃龍派僧進英 曾住花藥天寧 詳見進英
화약영(花藥英) 송대 황룡파승 진영이 일찍이 화약 천녕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진영(進英)을 보라.
) -->
【華陽巾】 是道士所戴的一種帽子 ▲叢林公論 披鶴氅衣 戴華陽巾
화양건(華陽巾) 이것은 도사가 쓰는 바의 일종의 모자. ▲총림공론. 학창의(鶴氅衣)를 입고 화양건(華陽巾)을 쓰다.
) -->
【華陽國志】 十二卷 約十一萬字 東晉常璩撰 又名華陽國記 是一部專門記述古代中國西南地區地方歷史地理人物等的地方志著作 [百度百科] ▲祖庭事苑五 華陽國志云 鳥有名杜宇者 其大如鵲 其聲哀而吻有血 土人云 春至則鳴 聞其初聲者 則有別離之苦 人皆惡聞之
화양국지(華陽國志) 12권. 약 11만 자며 동진 상거(常璩)가 찬(撰)했고 또 명칭이 화양국기(華陽國記)임. 이는 1부의, 고대 중국 서남지구 지방의 역사ㆍ지리ㆍ인물 등을 전문으로 기술한 지방지(地方志)의 저작임 [백도백과]. ▲조정사원5. 화양국지(華陽國志)에 이르되 새에 이름이 두우(杜宇)라고 하는 것이 있나니 그 크기는 까치와 같고 그 소리가 애달프고 부리(吻은 입술 문. 입가 문)에 피가 있다. 토인(土人; 土著民)이 이르되 봄이 이르면 곧 우는데 그 처음 소리를 들은 자는 곧 별이(別離)의 고(苦)가 있으므로 사람들이 다 그것을 듣는 걸 싫어한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4-595쪽 (0) | 2019.12.3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3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1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0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89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