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590쪽

태화당 2019. 12. 31. 09:49

貨殖以財變物曰貨 積聚財寶曰殖 又貨之所宜曰殖 [禪林寶訓音義] 禪林寶訓一 舜老夫賦性簡直 不識權衡貨殖等事

화식(貨殖) 재물을 물건으로 바꿈을 가로되 화()며 재보(財寶)를 적취(積聚)함을 가로되 식(). 또 화()의 소의(所宜)를 가로되 식()[선림보훈음의]. 선림보훈1. 순노부(舜老夫)는 부성(賦性; 천성)이 간직(簡直)했으며 권형(權衡)과 화식(貨殖; 재물을 늘림) 등의 일을 알지 못했다.

) --> 

化身佛三身之一 指爲普度世間衆生而化現的各種身體(包括父母所生之身) 黃檗傳心法要 化身說六度萬行法

화신(化身) 불타 3()의 하나. 세간의 중생을 보도(普度)하기 위해 화현(化現)하는 각종 신체(부모가 낳은 바의 몸을 포괄함)를 가리킴. 황벽전심법요. 화신(化身)6() 만행법(萬行法)을 설한다.

) --> 

花神一掌管花的神 二花的精神 五燈全書九十四古律範 紫綠紅黃一樣春 花神含笑識東君

화신(花神) 1. 꽃을 장관하는 신. 2. 꽃의 정신(精神). 오등전서94 고율범. 자록(紫綠)과 홍황(紅黃)이 한 모양의 봄이니 화신(花神)이 미소를 머금고 동군(東君)을 안다.


花信春花應風信而開 此云花信 虛堂語錄六 玉光幽潔 花信融通

화신(花信) 춘화(春花)가 풍신(風信)에 응해 피는데 이것을 일러 화신(花信)이라 함. 허당어록6. 옥광(玉光)이 유결(幽潔)하고 화신(花信)이 융통하다.

) --> 

華氏國卽華氏城 梵名波咤釐子 波羅利弗多羅 巴連弗等 爲中印度摩揭陀國之都城 位於恆河左岸 卽今之巴特納市 波咤釐子 原爲樹名 因該城種此樹多 故以之爲城名 本名拘蘇摩補羅城 唐名香花宮城 以王宮花多故也 後改爲波吒釐子城 佛滅後無憂王(阿育王)遷都於此 [西域記八 付法藏傳五 阿育王傳一] 傳燈錄一第十一祖富那夜奢 華氏國人也 姓瞿曇氏

화씨국(華氏國) 곧 화씨성(華氏城; Pāāṭaliputra. Pāāṭali-putta)이니 범명(梵名)은 파타리자(波咤釐子)ㆍ파라리불다라(波羅利弗多羅)ㆍ파련불(巴連弗) 등이며 중인도 마갈타국(摩揭陀國)의 도성이 됨. 항하의 좌안(左岸)에 위치하며 즉금의 파특납시(巴特納市; Patna). 파타리자(波咤釐子)는 원래 나무 이름이 되며 그 성에 이 나무를 심음이 많음으로 인해 고로 이로써 성명(城名)을 삼았음. 본명은 구소마보라성(拘蘇摩補羅城)이며 당나라 이름은 향화궁성(香花宮城)이니 왕궁에 꽃이 많은 연고임. 후에 고쳐 파타리자성(波吒釐子城)이라 했고 불타가 멸도한 후 무우왕(無憂王; 阿育王)이 여기로 천도(遷都)했음 [서역기8. 부법장전5. 아육왕전1]. 전등록1 11조 부나야사. 화씨국(華氏國) 사람이며 성은 구담씨(瞿曇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