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77쪽

태화당 2019. 12. 31. 11:19

黃龍慧南禪師語錄續補宋代黃龍慧南撰 日本京都建仁寺兩足院高峰東晙編 編者從聯燈會要 嘉泰普燈錄 續古尊宿語要 禪門拈頌集 永平廣錄 無示介諶禪師語錄等書中 集錄黃龍慧南語要五十餘條 又從嘉泰普燈錄 五燈會元 林間錄 雲臥紀譚諸書中 集錄十二首偈頌 編成此書 收入於黃龍慧南禪師語錄後尾

황룡혜남선사어록속보(黃龍慧南禪師語錄續補) 송대 황룡혜남이 찬()했고 일본 경도(京都) 건인사 양족원 고봉동준이 편()했음. 편자가 연등회요ㆍ가태보등록ㆍ속고존숙어요ㆍ선문염송집ㆍ영평광록ㆍ무시개심선사어록 등의 서책 가운데로부터 황룡혜남어요 50여 조()를 집록하고 또 가태보등록ㆍ오등회원ㆍ임간록ㆍ운와기담 여러 서책 가운데로부터 12수의 게송을 집록하여 이 서책을 편성했음. 황룡혜남선사어록 후미(後尾)에 수입(收入)되었음.

) --> 

黃龍晦堂心和尙語錄見寶覺祖心禪師語錄

황룡회당심화상어록(黃龍晦堂心和尙語錄) 보각조심선사어록을 보라.

) --> 

荒邈荒蕪渺邈 禪林寶訓筆說上 荒者 荒蕪無稽之談 邈者 渺邈無措之句 禪林寶訓序 其文理優游平易 無高誕荒邈詭異之跡

황막(荒邈) 황무(荒蕪; 거칢)하고 묘막(渺邈; 廣遠). 선림보훈필설상 황()이란 것은 황무(荒蕪)하여 계고(稽考)할 게 없는 담()이며 막()이란 것은 묘막(渺邈)하여 조치할 게 없는 구(). 선림보훈서. 그 문리(文理)는 우유(優游)하고 평이(平易)하며 고탄(高誕)하고 황막(荒邈)하고 궤이(詭異)한 자취가 없다.


慌忙猶急忙 古尊宿語錄十四趙州 問 歸根得旨時如何 師云 太慌忙生

황망(慌忙) 급망(急忙)과 같음. 고존숙어록14 조주. 묻되 근본으로 돌아가 지취를 얻을 때는 어떻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매우 황망(慌忙)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