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梅夜渡】 黃梅 指五祖弘忍 壇經 祖(五祖)相送 直至九江驛 祖令上船 五祖把艣自搖 惠能言 請和尙坐 弟子合搖艣 祖云 合是吾渡汝 惠能云 迷時師度 悟了自度 度名雖一 用處不同 惠能生在邊方 語音不正 蒙師傳法 今已得悟 只合自性自度 祖云 如是如是 ▲五燈全書九十九鐵山基 黃梅夜渡 南嶽打車 祇爲者一片田地
황매야도(黃梅夜渡) 황매는 5조 홍인을 가리킴. 단경(壇經) 조(5조)가 상송(相送)하여 구강역(九江驛)에 이르렀다. 5조가 배에 오르게 하고는 5조가 노를 잡고 스스로 저었다. 혜능이 말하되 청컨대 화상은 앉으십시오. 제자가 합당히 노를 젓겠습니다. 5조가 이르되 합당히 이 내가 너를 제도(濟度)해야 한다. 혜능이 이르되 미시(迷時)엔 스님이 제도하시지만 오료(悟了)하면 스스로 제도합니다. 도(度)의 이름이 비록 하나지만 용처가 같지 않습니다. 혜능이 변방에 태어나 있어서 어음(語音)이 바르지 않다가 스님의 전법을 입어 지금은 이미 득오(得悟)했으니 다만 자성에 합해 스스로 제도해야 합니다. 5조가 이르되 이와 같고 이와 같다. ▲오등전서99 철산기. 황매의 야도(黃梅夜渡)와 남악의 타거(南嶽打車)가 다만 이 일편전지(一片田地)가 된다.
) -->
【黃梅雨】 長江中下流域春末夏初黃梅季節下的雨 也稱梅雨 ▲雜毒海六 去年五月黃梅雨 曾典袈裟糴米歸
황매우(黃梅雨) 장강 중하류(中下流) 지역에 춘말하초(春末夏初) 황매계절(黃梅季節)에 내리는 비니 또 명칭이 매우(梅雨). ▲잡독해6. 거년(去年) 5월 황매우(黃梅雨)에 일찍이 가사를 전당잡혀 쌀을 사서 돌아왔다.
) -->
【黃面】 指釋迦牟尼佛 見黃頭 ▲傳燈錄十六雲蓋志元 僧問 如何是佛 師曰 黃面底是
황면(黃面) 석가모니불을 가리킴. 황두(黃頭)를 보라. ▲전등록16 운개지원.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황면(黃面)인 것이 이것이다.
) -->
【黃面瞿曇】 同黃面老子 瞿曇卽釋迦牟尼 參黃面老子 ▲無門關世尊拈花 黃面瞿曇傍若無人 壓良爲賤 懸羊頭賣狗肉
황면구담(黃面瞿曇) 황면로자와 같음. 구담은 곧 석가모니. 황면로자를 참조하라. ▲무문관 세존념화. 황면구담(黃面瞿曇)이 방약무인(傍若無人)하여 압량위천(壓良爲賤)하고 양두를 매달고서 개고기를 파는구나.
) -->
【黃面老】 同黃面老子 ▲五燈會元十八天童普交 咄哉黃面老 佛法付王臣
황면로(黃面老) 황면로자와 같음. ▲오등회원18 천동보교. 돌재(咄哉)라, 황면로(黃面老)가 불법을 왕신(王臣)에게 부촉했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81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80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78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77쪽 (0) | 2019.12.3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676쪽 (0) | 2019.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