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26쪽

태화당 2020. 1. 1. 09:14

晦庵光】 ①宋代楊岐派僧慧光 號晦庵 詳見慧光 宋代楊岐派僧彌光 號晦庵 詳見彌光

회암광(晦庵光) 송대 양기파승 혜광의 호가 회암이니 상세한 것은 혜광(慧光)을 보라. 송대 양기파승 미광의 호가 회암이니 상세한 것은 미광(彌光)을 보라.

) --> 

檜巖寺位於韓國京畿道楊州郡檜泉邑天寶山 高麗忠肅王十五年(1328) 梵僧指空 倣印度羅爛陀寺 開創二六六間大規模寺刹 禑王四年(1378) 懶翁重建 麗末爲全國寺刹之總本山 僧數三○○○餘人 朝鮮成宗三年(1472) 貞憙王后命鄭顯祖重創 明宗時 文定王后施佛敎再興政策 爲全國第一修禪道場 厥後因抑佛政策與數次火災頹落 純祖二十一年(1821) 京畿地方僧侶 重修指空懶翁無學三和尙之浮屠石碑 樹小院而承檜巖寺號 西紀一九七七年 重建大雄殿三聖閣影聖閣等

회암사(檜巖寺) 한국 경기도 양주군 회천읍 천보산에 위치함. 고려 충숙왕 15(1328) 범승(梵僧) 지공(指空)이 인도 라란타사(羅爛陀寺)를 본떠 266간의 대규모 사찰을 개창했음. 우왕 4(1378) 나옹(懶翁)이 중건했고 여말(麗末) 전국 사찰의 총본산이 되었는데 승수(僧數)3천여 인이었음. 조선 성종 3(1472) 정희왕후(貞憙王后)가 정현조에게 명해 중창했음. 명종 때 문정왕후(文定王后)가 불교 재흥정책을 시행하며 전국 제일의 수선도량(修禪道場)이 되었으나 그 후 억불정책과 몇 차례의 화재로 인해 퇴락(頹落)했음. 순조 21(1821) 경기지방 승려가 지공ㆍ나옹ㆍ무학 세 화상의 부도석비(浮屠石碑)를 중수하고 소원(小院)을 세워 회암사의 호를 이었음. 서기 1977년 대웅전ㆍ삼성각ㆍ영성각 등을 중건했음.

) --> 

晦菴先生朱熹(1130-1200) 字元晦 號晦菴 詳見朱熹 居士分燈錄蓮池大師法語 晦菴先生闢佛 空谷力爲辨駁矣 雖然晦菴亦有助佛揚化處

회암선생(晦菴先生) 주희(1130 1200)의 자가 원회며 호가 회암이니 상세한 것은 주희(朱熹)를 보라. 거사분등록 연지대사법어. 회암선생(晦菴先生)이 벽불(闢佛; 불교를 배척함)하자 공곡(空谷)이 힘써 변박(辨駁)했다. 비록 그러하나 회암도 또한 조불양화(助佛揚化)한 곳이 있다.


晦庵定慧朝鮮國僧定慧號晦庵 詳見定慧

회암정혜(晦庵定慧) 조선국승 정혜의 호가 회암이니 상세한 것은 정혜(定慧)를 보라.

) --> 

晦巖炯淸代臨濟宗僧眞炯 號晦巖 詳見眞炯

회암형(晦巖炯) 청대 임제종승 진형의 호가 회암이니 상세한 것은 진형(眞炯)을 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