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懷玉山宣】 世稱宣首座 宋代楊岐派僧 初於筠陽黃蘗 聞祥和尙小參語有省 尋造餘杭徑山 謁大慧宗杲 服勤甚久 終得徹悟 [增集續傳燈錄六 雲臥紀譚上]
회옥산선(懷玉山宣) 세칭 선수좌(宣首座)니 송대 양기파승. 처음 균양 황벽에서 상화상의 소참어를 듣다가 성찰이 있었고 이윽고 여항 경산으로 나아가 대혜종고(大慧宗杲)를 참알해 복근(服勤)하기가 매우 오래되었고 마침내 철오(徹悟)를 얻었음 [증집속전등록6. 운와기담상].
) -->
【晦翁明】 宋代楊岐派僧悟明 字晦翁 詳見悟明
회옹명(晦翁明) 송대 양기파승 오명의 자가 회옹이니 상세한 것은 오명(悟明)을 보라.
) -->
【會翁海】 元代臨濟宗僧淸海 字會翁 詳見淸海
회옹해(會翁海) 원대 임제종승 청해의 자가 회옹이니 상세한 것은 청해(淸海)를 보라.
) -->
【懷祐】 五代後梁僧 泉州(今屬福建)人 嗣石霜慶諸 退居謝山 晦迹靜修 後入廬山棲賢寺 卒諡玄悟禪師 [傳燈錄十六 五燈會元六]
회우(懷祐) 오대 후량승. 천주(지금 복건에 속함) 사람. 석상경제(石霜慶諸)를 이었고 사산(謝山)에 퇴거(退居)하며 자취를 감추고 고요히 수행했음. 후에 여산 서현사에 들어갔음. 졸시(卒諡)는 현오선사 [전등록16. 오등회원6].
) -->
【懷惲】 ①唐代僧 又作懷暉 詳見懷暉 ②五代曹洞宗僧 嗣法於雲居道膺 居廬山歸宗寺 復住百丈山 [傳燈錄二十 聯燈會要二十五]
회운(懷惲) ①당대승. 또 회휘로 지음. 상세한 것은 혜휘(懷暉)를 보라. ②오대 조동종승. 운거도응에게서 법을 이었고 여산 귀종사에 거주하다가 다시 백장산에 거주했음 [전등록20. 연등회요25].
) -->
【會元】 五燈會元 ▲禪林疏語考證四 會元曰 長慶大安禪師參百丈 禮而問曰 學人欲求識佛 何者卽是 丈曰大似騎牛覔牛
회원(會元) 오등회원임. ▲선림소어고증4. 회원(會元)에 가로되 장경 대안선사가 백장을 참해 예배하고 물어 가로되 학인이 부처를 알기를 욕구(欲求)합니다. 어떤 것이 이것입니까. 백장이 가로되 소를 타고 소를 찾음과 매우 흡사하다.
) -->
【懷越志】 淸代臨濟宗僧 機伭年法嗣 [五燈全書一○六]
회월지(懷越志) 청대 임제종승. 기현년의 법사 [오등전서106].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30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29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26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25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24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