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懷渭】 (1317-1375) 元末臨濟宗僧 俗姓魏 字淸遠 號竹庵 南昌(今屬江西)人 笑隱大訢之甥也 投南京龍翔寺全悟禪師(笑隱大訢的賜號)削髮爲僧 久之 命爲記室 全悟臨終前付以衣拂 後住持會稽(今浙江紹興)寶相寺 不久 遷杭州報國寺 明洪武(1368-1398)初 住持杭州淨慈寺 奉詔至南京 參加鐘山無遮大會 晩年隱居杭州良諸 工詩 通內外典 善鼓琴 著有四會語錄 [竹庵外集 宋學士集五十七 補續高僧傳十五 五燈全書五十六]
회위(懷渭) (1317-1375) 원말 임제종승. 속성은 위며 자는 청원이며 호는 죽암이니 남창(지금 강서에 속함) 사람. 소은대흔(笑隱大訢)의 생질이며 남경 용상사 전오선사(全悟禪師; 소은대흔의 賜號)에게 투신해 머리를 깎고 승인이 되었음. 오래되자 명하여 기실(記室)로 삼았고 전오가 임종하기 전 의불(衣拂)을 부촉했음. 후에 회계(지금의 절강 소흥) 보상사에 주지했고 오래지 않아 항주 보국사로 옮겼음. 명 홍무(1368-1398) 초 항주 정자사에 주지했고 봉조(奉詔)하여 남경에 이르러 종산(鐘山)의 무차대회(無遮大會)에 참가했음. 만년에 항주 양제(良諸)에 은거했음. 시에 공교(工巧)했고 내외전을 통달했음. 저서에 4회(會) 어록이 있음 [죽암외집. 송학사집57. 보속고승전15. 오등전서56].
) -->
【懷宥】 宋代雲門宗僧 住潭州大潙 依洞山曉聰悟旨 [五燈會元十五 續傳燈錄五]
회유(懷宥) 송대 운문종승. 담주 대위에 거주했고 동산효총에게 의지해 지취를 깨쳤음 [오등회원15. 속전등록5].
) -->
【淮陰】 指淮陰侯韓信 詳見韓信 ▲千松筆記 如禹之治水 淮陰之用兵
회음(淮陰) 회음후 한신을 가리킴. 상세한 것은 한신(韓信)을 보라. ▲천송필기. 우(禹)의 치수(治水)와 회음(淮陰)의 용병과 같다.
) -->
【淮陰墓】 西漢軍事家韓信死後 留下可考的墓葬有三處 分別是山西靈石墓 陝西灞橋墓 和江蘇淮陰墓 ▲雜毒海四 淮陰墓 墓石能存漢姓名 驚濤拍岸似猶爭 功成祇說英雄貴 跨下何殊走狗烹(箬菴問)
회음묘(淮陰墓) 서한 군사가 한신(韓信)이 사후에 유하(留下; 남겨두다)를 가히 계고(稽考)할 만한 묘장(墓葬; 古墳)에 세 곳이 있음. 이를 분별하자면 산서 영석묘, 섬서 패교묘와 강소 회음묘(淮陰墓)임. ▲잡독해4. 회음묘(淮陰墓) 묘석(墓石)은 한(漢)의 성명을 능히 남겼으니/ 경도(驚濤)가 언덕을 치며 아직 쟁투하는 듯하다/ 공성(功成)하면 다만 설하기를 영웅이 존귀하다 하나/ 과하(跨下; 사타구니 아래의 치욕)가 어찌 주구(走狗)의 팽(烹)과 다르겠는가 (약암문).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31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30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28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26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25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