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40쪽

태화당 2020. 1. 1. 11:05

回向文又作迴向文 回向偈 乃課誦或法會結束時 將讀經之功德迴向於自他或死者 使其成佛往生之文 例如法華經化城喩品之偈 願以此功德 普及於一切 我等與衆生 皆共成佛道 迴向文除短句外 亦有長文者 緇門警訓四大慧禪師看經回向文 某甲業力障魔神志錯亂 (中略)仗佛神力使罪消除 常轉法輪起濟含識

회향문(回向文) 또 회향문(迴向文)ㆍ회향게(回向偈)로 지음. 곧 과송(課誦) 혹 법회의 결속 시 독경의 공덕을 가지고 자타 혹 사자(死者)에게 회향하여 그로 하여금 성불하고 왕생하게 하는 문(). 예여(例如) 법화경 화성유품의 게 원컨대 이 공덕을/ 일체에 보급하나니/ 아등(我等)과 중생이/ 모두 다 불도를 성취하소서. 회향문은 단구(短句)를 제한 밖에 또한 장문인 것도 있음. 치문경훈4 대혜선사 간경회향문(看經回向文). 모갑이 업력의 장마(障魔)로 신지(神志)가 착란하여 (중략) 불타의 신력에 기대어() 죄를 소제(消除)하고 법륜을 상전(常轉)하여 함식(含識)을 기제(起濟)하게 하소서.

) --> 

回向發願心又作迴向發願心 觀經所說三心之一 願以所修之善根功德 迴向極樂淨土 而生於彼土之心也 爲霖旅泊菴稿一 果能以至誠心 深心 迴向發願心 精懃禮念六時不缺 爲淨土資糧

회향발원심(回向發願心) 또 회향발원심(迴向發願心)으로 지음. 관경(觀經)에서 설한 바 3심의 하나. 닦은 바 선근 공덕으로 극락정토에 회향하여 그 정토에 태어나기를 원하는 마음임. 위림여박암고1. 과연 능히 지성심ㆍ심심ㆍ회향발원심(迴向發願心)으로 정근(精懃)하며 예념(禮念)하면서 육시(六時)에 결하지 않으면 정토의 자량(資糧)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