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39쪽

태화당 2020. 1. 1. 11:05

淮海原肇禪師語錄一卷 宋代臨濟宗僧淮海原肇說 實仁等編 又稱淮海原肇禪師語錄 淮海肇和尙語錄 淮海和尙語錄 內容輯錄原肇從住通州報恩光孝禪寺 迄徑山興聖萬壽禪寺之十會語錄 及佛祖讚頌 今收錄於卍續藏第一二一冊

회해원조선사어록(淮海原肇禪師語錄) 1. 송대 임제종승 회해원조가 설했고 실인 등이 편()했음. 또 명칭이 회해원조선사어록ㆍ회해조화상어록ㆍ회해화상어록. 내용은 원조가 통주 보은광효선사에 주()함으로부터 경산 흥성만수선사에 이르기까지의 10() 어록 및 불조찬송을 집록했음. 지금 만속장 제121책에 수록되었음.

) --> 

淮海肇宋代楊岐派僧原肇 字淮海 詳見原肇

회해조(淮海肇) 송대 양기파승 원조의 자가 회해니 상세한 것은 원조(原肇)를 보라.

) --> 

懷香】 ①懷中之香 列祖提綱錄二十三 燒懷香法語(以上諸香皆係燒香 侍者逐一度上 惟嗣法香 住持當從懷中拈出 自插爐中) 或爲請益以香入懷中 五燈會元續略三上高峰原妙 次謁雪巖於北澗 懷香請益

회향(懷香) 품 속의 향. 열조제강록23. 소회향법어(燒懷香法語; 以上諸香은 모두 이 燒香이다. 시자가 逐一하여 위로 건넨다. 오직 嗣法香은 주지가 마땅히 懷中으로부터 拈出하여 스스로 爐中에 꽂는다). 혹 청익하기 위해 향을 품 속에 넣음. 오등회원속략3상 고봉원묘. 다음에 설암을 북간에서 참알했다. 회향(懷香)하고 청익했다.

) --> 

回向】 ①回心歸向 回轉趣向 五燈會元一四祖優波毱多 波旬曰 然則柰何 梵王曰 汝可歸心尊者 卽能除斷 乃爲說偈 令其回向曰 若因地倒 還因地起 離地求起 終無其理 波旬受敎已 卽下天宮 禮尊者足 哀露懺悔 尊者告曰 汝自今去 於如來正法 更不作嬈害否 波旬曰 我誓回向佛道 永斷不善 善慧大士錄二 大乘者 息一切攀緣有爲諸結 修行四等六度 廣濟羣生 怨親平等 迴向三菩提 不證三菩提 修行一切法 而離諸法相 將自己所修善業功德 施給他人 期望衆生皆獲福報 稱作回向 元來廣錄二十一 將我念佛功德 發願回向大地衆生 同生淨土同成佛道

회향(回向) 회심하여 귀향(歸向). 회전하여 취향함. 오등회원1 4조 우바국다. 파순(波旬)이 가로되 그렇다면 곧 어떻게 해야 합니까. 범왕(梵王)이 가로되 네가 가히 존자에게 귀심(歸心)한다면 곧 능히 제단(除斷)하리라. 이에 게를 설해 그로 하여금 회향(回向)하게 해 가로되 만약 땅을 인해 넘어졌으면/ 도리어 땅을 인해 일어나야 하나니/ 땅을 여의고 일어남을 구한다면/ 마침내 그 이치가 없다. 파순이 가르침을 받은 다음 곧 천궁에서 내려와 존자의 발에 예배하고 슬프게 참회(懺悔)를 드러내었다. 존자가 고해 가로되 네가 금일로부터 가면서 여래의 정법에 다시는 요해(嬈害; 는 번거로울 요)를 짓지 않겠는가. 파순이 가로되 내가 맹세코 불도로 회향(回向)하여 영원히 불선(不善)을 단절하겠습니다. 선혜대사록2. 대승이란 것은 일체의 유위와 반연한 제결(諸結)을 쉬고 4()6()를 수행하여 군생을 널리 제도해 원친(怨親)이 평등하며 삼보리(三菩提)로 회향(回向)하되 삼보리를 증득하지 않으며 일체법을 수행하여 모든 법상(法相)을 여읨이다. 자기가 닦은 바 선업의 공덕을 가지고 타인에게 시급(施給)하여 중생이 모두 복보(福報)를 얻음을 기망(期望)함을 일컬어 회향이라 함. 원래광록21. 나의 염불공덕을 가지고 대지(大地) 중생에게 회향(回向)하여 정토에 동생(同生)하고 불도를 동성(同成)하기를 발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