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侯黑】 參侯白 ▲傳燈錄十五投子大同 趙州問 死中得活時如何 師曰 不許夜行 投明須到 趙州曰 我早侯白 伊更侯黑
후흑(侯黑) 후백(侯白)을 참조하라. ▲전등록15 투자대동. 조주가 묻되 사중(死中)에서 살아남을 얻었을 땐 어떠한가. 스님이 가로되 야행을 허락하지 않으니 날이 밝거든 이름을 써라. 조주가 가로되 나는 벌써 후백(侯白)이고 너는 다시 후흑(侯黑)이다.
) -->
【勳貴】 功臣權貴 ▲圓悟語錄一 次拈香云 奉爲判府尙書諸衙勳貴
훈귀(勳貴) 공신과 권귀(權貴). ▲원오어록1. 다음 염향(拈香)하고 이르되 받들어 판부상서와 제아(諸衙)의 훈귀(勳貴)를 위합니다.
) -->
【薰陶】 熏染陶冶 ▲萬善同歸集序 匪一事以薰陶 必多門而練習
훈도(薰陶) 훈염(熏染)하고 도치(陶冶)함. ▲만선동귀집서. 일사(一事)로 훈도(薰陶)함이 아니라 반드시 다문(多門)으로 연습(練習)한다.
) -->
【訓童行】 訓誨童行之意 禪宗每月一日十五日等 集各局務行者於寢堂 訓誨垂示也 百丈淸規二有訓童行條
훈동행(訓童行) 동행을 훈회(訓誨; 가르침)함의 뜻. 선종에서 매월 1일과 15일 등에 각 국무행자(局務行者)를 침당(寢堂)에 소집해 훈회(訓誨)하고 수시(垂示)함. 백장청규2에 훈동행조(訓童行條)가 있음.
) -->
【勳練】 熏習 熏修 ▲祖堂集三懶瓚 妙性及靈臺 何曾受勳練
훈련(勳練) 훈습. 훈수. ▲조당집3 나찬. 묘성(妙性) 및 영대(靈臺)가 어찌 일찍이 훈련(勳練)을 받겠는가.
【薰陸】 同熏陸 法華經科註六云 薰陸者 出大秦國 西域記云 薰陸 香樹 葉似棠梨 ▲列祖提綱錄二十三密庵傑 不是人間薰陸 亦非海外旃檀
훈륙(薰陸) 훈륙(熏陸)과 같음. 법화경과주6에 이르되 훈륜(薰陸)이란 것은 대진국(大秦國)에서 난다. 서역기에 이르되 훈륙(薰陸)은 향나무니 입이 당리(棠梨)와 비슷하다. ▲열조제강록23 밀암걸. 이 인간의 훈륙(薰陸)이 아니며 또한 해외의 전단(旃檀)이 아니다.
) -->
【熏陸】 香樹名 杜嚕 此云熏陸 狀如桃膠 葉似棠梨 [翻譯名義集三] ▲月江正印語錄下 一焚熏陸香蒙茸
훈륙(熏陸) 향나무 이름. 두로(杜嚕)는 여기에선 이르되 훈륙(熏陸)이니 형상이 도교(桃膠)와 같고 잎은 당리(棠梨)와 비슷함 [번역명의집3]. ▲월강정인어록하. 한 번 훈륙(熏陸)을 태우니 향이 몽용(蒙茸; 雜亂한 모양)하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77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76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74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73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72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