垂示云 有佛處不得住 住著頭角生 無佛處急走過 不走過 草深一丈 直饒淨裸裸赤灑灑 事外無機機外無事 未免守株待兔 且道總不恁麽 作麽生行履 試擧看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부처가 있는 곳엔 머묾을 얻지 말지니 주착(住著)하면 두각(頭角)이 생(生)하고 부처가 없는 곳은 급히 달려 지나갈지니 달려 지나가지 않으면 풀의 깊이가 1장(丈)이다. 직요(直饒; 縱然) 정나라적쇄쇄(淨裸裸赤灑灑)하여 사외(事外)에 기(機)가 없고 기외(機外)에 사(事)가 없더라도 수주대토(守株待兔)를 면하지 못한다. 그래 말하라 다 이러하지 않을진대 어떻게 행리(行履)하는가, 시험삼아 들어보아라(擧看).
【九五】擧 長慶有時云 寧說*阿羅漢有*三毒焦糓不生芽 不說如來有二種語已是謗釋迦老子了 不道如來無語猶自顢頇 早是七穿八穴 只是無二種語*周由者也 說什麽第三第四種 保福云 作麽生是如來語好一拶 道什麽 慶云 聾人爭得聞望空啓告 七花八裂 保福云 情知爾向第二頭道爭瞞得明眼人 裂轉鼻孔 何止第二頭 慶云 作麽生是如來語錯 却較些子 保福云 喫茶去領 復云 還會麽 蹉過了也
●阿羅漢; 小乘極悟之位名 又作阿盧漢 阿羅訶 略稱羅漢 一譯殺賊 殺煩惱賊之意 二譯應供 當受人天供養之意 三譯不生 永入涅槃不再受生死果報之意 阿羅漢有二種 卽阿羅漢向 阿羅漢果
●三毒; 祖庭事苑七 三毒 謂貪嗔癡 四解脫經云 三毒感三塗 嗔忿火塗(地獄塗) 慳貪刀塗(餓鬼塗) 愚癡血塗(畜生塗)
●周由者也; 謂言語紛繁迂曲 亦作周遊者也 者也周由
【九五】 거(擧)하다. 장경(長慶; 慧稜)이 어떤 때에 이르되 차라리 아라한(*阿羅漢)이 3독(*三毒)이 있다고 설할지언정 초곡(焦糓; 불탄 낟알)엔 싹이 나지 않는다. 여래가 이종어(二種語)가 있다고 설하지 못하나니 이미 이는 석가노자를 비방해버린 것이다. 여래가 말씀이 없다고 말함이 아니라 오히려 스스로 만한(顢頇; 糊塗)한지라 벌써 이는 칠천팔혈(七穿八穴)이다. 다만 이는 이종어가 없음이다. 주유자(*周由者也)다. 무슨 제삼제사종(第三第四種)을 설하는가. 보복(保福; 從展)이 이르되 무엇이 이 여래어(如來語)인가. 좋은 1찰(拶; 다그치다)이다. 무엇이라고 말할건가. 장경이 이르되 농인(聾人; 귀머거리)이 어찌 들음을 얻겠는가. 허공을 바라보며 계고(啓告)함이다. 칠화팔렬(七花八裂)이다. 보복이 이르되 진정(眞情; 情)으로 네가 제2두(第二頭)를 향해 말한 줄 알겠다. 어찌 명안인(明眼人)을 속임을 얻겠는가. 콧구멍(장경의 콧구멍)을 열전(裂轉)함이니 어찌 제2두에 그치리오. 장경이 이르되 무엇이 이 여래어(如來語)인가. 틀렸으되 도리어 조금은 상당하다. 보복이 이르되 차 마시러 가거라. 영(領; 여래어를 領解)했다. 다시 이르되 도리어 알겠느냐. 차과(蹉過; 놓침)해버렸다.
●阿羅漢; 소승 극오(極悟)의 위명(位名)이니 또 아로한(阿盧漢)ㆍ아라하(阿羅訶)로 지으며 약칭이 라한. 1. 살적(殺賊)으로 번역함. 번뇌적(煩惱賊)을 죽임의 뜻. 2. 응공(應供)으로 번역함. 마땅히 인천의 공양을 받음의 뜻. 3. 불생(不生)으로 번역함. 영원히 열반에 들어 생사의 과보를 다시 받지 않음의 뜻. 아라한에 2종이 있으니 곧 아라한향(阿羅漢向)과 아라한과(阿羅漢果)임.
●三毒; 조정사원7. 3독(毒) 이르자면 탐ㆍ진ㆍ치임. 사해탈경에 이르되 3독이 3도(塗)를 감응하나니 진분(嗔忿)은 화도(火塗; 지옥도)며 간탐은 도도(刀塗; 아귀도)며 우치는 혈도(血塗; 축생도)다.
●周由者也; 이르자면 언어가 분번(紛繁)하고 우곡(迂曲)함. 또한 주유자야(周遊者也)ㆍ자야주유(者也周由)로 지음.
長慶保福在雪峰會下 常互相擧覺商量 一日平常如此說話云 寧說阿羅漢有三毒 不說如來有二種語 梵語阿羅漢 此云殺賊 以功能彰名 能斷九九*八十一品煩惱 *諸漏已盡 梵行已立 此是*無學阿羅漢位 三毒卽是貪嗔癡 *根本煩惱 八十一品 尙自斷盡 何況三毒 長慶道 寧說阿羅漢有三毒 不說如來有二種語 大意要顯如來無不實語 法華經云 唯此一事實 餘二則非眞 又云 唯有*一乘法 無二亦無三 世尊三百餘會 觀機*逗敎 應病與藥 萬種千般說法 畢竟無二種語 他意到這裏 諸人作麽生見得 *佛以一音演說法則不無 長慶要且未夢見如來語在 何故大似人說食終不能飽 保福見他平地上說敎遂問 作麽生是如來語 慶云 聾人爭得聞 這漢知他幾時 在鬼窟裏作活計來也 保福云 情知爾向第二頭道 果中其言 却問師兄作麽生是如來語 福云 喫茶去 鎗頭倒被別人奪却了也 大小長慶 失錢遭罪 且問諸人 如來語還有幾箇 須知恁麽見得 方見這兩箇漢敗缺 子細檢點將來 盡合喫棒 放一線道與他理會 有底云 保福道得是 長慶道得不是 只管隨語生解 便道有得有失 殊不知 古人如擊石火 似閃電光 如今人不去他古人轉處看 只管去句下走 便道長慶當時不便用 所以落第二頭 保福云 喫茶去 便是第一頭 若只恁麽看 到彌勒下生 也不見古人意 若是作家 終不作這般見解 跳出這窠窟 向上自有一條路 爾若道聾人爭得聞 有什麽不是處 保福云喫茶去 有什麽是處 轉沒交涉 是故道 他參活句 不參死句 這因緣與遍身是通身是因緣一般 無爾計較是非處 須是爾脚跟下 淨裸裸地 方見古人相見處 五祖老師云 如馬前相撲相似 須是眼辨手親 這箇公案 若以正眼觀之 俱無得失處 辨箇得失 無親疏處 分箇親疏 長慶也須禮拜保福始得 何故這箇些子 巧處用得好 如電轉星飛相似 保福不妨牙上生牙 爪上生爪 頌云
●八十一品煩惱; 天台四敎儀云 二明思惑者 有八十一品 謂三界分爲九地 欲界合爲一地 四禪四定爲八 共爲九地 欲界一地中 有九品貪瞋癡慢 言九品者 上上上中上下 中上中中中下 下上下中下下 上八地各有九品 除瞋使 故成八十一也
●諸漏; 漏 煩惱之異稱 諸漏 卽諸煩惱 總攝三界諸煩惱 稱爲三漏 ▲大乘義章五 一切煩惱流注不絶 其猶瘡漏 故名爲漏
●無學阿羅漢; 小乘四果之聖者中 前三果(須陀洹果 斯陀含果 阿那含果)謂之有學 第四果(阿羅漢果)謂之無學 以前三果尙有可修學之道故也
●根本煩惱; 又曰本惑 本煩惱 謂大乘百法中貪 瞋 癡 慢 疑 惡見之六大煩惱也
●一乘; 成佛唯一之敎也 乘爲車乘 以譬佛之敎法 敎法能載人運於涅槃岸 故謂之乘 法華經專說此一乘 ▲法華經方便品 十方佛土中 唯有一乘法 無二亦無三 除佛方便說
●逗敎; 以佛音敎 投于衆生心機中也
●佛以一音演說法; 維摩經佛國品 佛以一音演說法 衆生隨類各得解
장경(長慶)과 보복(保福)이 설봉의 회하(會下)에 있으면서 늘 호상 거각(擧覺)하고 상량(商量)했다. 어느 날 평상(平常)처럼 이와 같이 설화해 이르되 차라리 아라한이 3독(毒)이 있다고 설할지언정 여래가 이종어(二種語)가 있다고 설하지 못한다 하였다. 범어 아라한은 여기에선 이르되 살적(殺賊)이니 공능(功能)으로써 이름이 나타난다(彰). 능히 구구 팔십일품의 번뇌(*八十一品煩惱)를 끊어 제루(*諸漏)가 이미 다했고 범행(梵行)이 이미 섰으므로 이것은 이 무학의 아라한위(*無學阿羅漢位)다. 3독은 곧 이 탐진치(貪嗔癡)인 근본번뇌(*根本煩惱)니 81품도 오히려 스스로 끊어 없앴거늘 어찌 하물며 3독이겠는가. 장경이 말하되 차라리 아라한이 3독이 있다고 설할지언정 여래가 이종어(二種語)가 있다고 설하지 못한다고 한 대의(大意)는 여래가 실어(實語)가 아님이 없음을 나타내고자 함이니 법화경에 이르되 오직 이 일사(一事)만 실(實)이며 나머지 둘은 곧 진(眞)이 아니다 했고 또 이르되 오직 일승법(*一乘法)만 있고 둘도 없고 또한 셋도 없다 하였다(이상은 방편품의 글). 세존이 3백 여 회(會) 근기(根機)를 보아 두교(*逗敎)하여 병에 응해 약을 주심이 만종천반(萬種千般)의 설법이로되 필경 이종어(二種語)가 없다. 그(불타)의 뜻이 이 속에 이르나니 제인은 어떻게 견득(見得)하는가. 불타가 일음(一音; 一音聲)으로써 법을 연설하심(*佛以一音演說法)은 곧 없지 않으나 장경이 요차(要且; 그러나, 도리어) 꿈에도 여래어(如來語)를 보지 못하여 있나니 무슨 연고냐, 사람이 밥을 설하여도 마침내 능히 배부르지 못함과 매우 비슷하여서이다. 보복이 그(장경)의 평지상(平地上)의 설교(平常說敎)를 보고 드디어 묻되 무엇이 이 여래어인가. 장경이 이르되 농인(聾人)이 어찌 들음을 얻겠는가 하니 저한(這漢; 보복)이 그(장경)가 어느 때(幾時) 귀굴(鬼窟) 속에 있으면서 활계(活計)를 지어 왔는 줄 안지라 보복이 이르되 진정(眞情; 情)으로 네가 제2두(第二頭)를 향해 말한 줄 알겠다 하니 과연 그 말이 적중했다(장경의 말이 제2두임이 분명하다는 뜻). 도리어 묻되 사형(師兄)은 무엇이 이 여래어라고 하는가. 보복이 이르되 차 마시러 가거라. 창두(鎗頭; 頭는 조사)를 거꾸로 다른 사람(보복)에게 빼앗겨버림을 입었으니 대소(大小) 장경이 돈 잃고 죄를 만났다. 다만(且) 제인에게 묻노니 여래어가 도리어 몇 개가 있는가. 모름지기 이러히(1句1字도 없음) 견득(見得)할 줄 알아야 비로소 이 양개한(兩箇漢)의 패결(敗缺)을 보리라. 자세히 검점(檢點)하여 가져 올진대 모두 합당히 끽방(喫棒)해야 하지만 일선도(一線道)를 놓아(보복이 놓아) 그(장경)에게 이회(理會)를 준 것이다. 어떤 이는 이르되 보복이 말한 것(道得; 得은 조사)은 옳고 장경이 말한 것은 옳지 않다 하며 다만 관대(管帶)하여 말 따라 앎(解)을 내어 곧 말하되 얻음도 있고 잃음도 있다 하거니와 고인은 돌을 치는 불과 같고 번쩍하는 번갯빛과 같은 줄 너무 알지 못함이다. 여금의 사람은 저 고인의 전처(轉處)로 가서 보지 않고 다만 구하(句下)로 관거(管去)하여 달리면서 곧 말하되 장경이 당시에 바로(便) 쓰지 않은지라 소이로 제2두에 떨어졌으며 보복이 이른 차 마시러 가거라는 곧 이 제1두라고 하나니 만약 다만 이러히 본다면 미륵이 하생함에 이르더라도 또한 고인의 뜻을 보지 못한다. 만약 이 작가일진대 마침내 이런 종류(這般)의 견해를 짓지 않으리니 이런 과굴(窠窟; 句下에 死却함이 과굴임)을 도출(跳出)해야 향상에 저절로 한 가닥의 길이 있으리라. 너희가 만약 말하되 농인(聾人)이 어찌 들음을 얻겠는가 한 것은 무슨 옳지 못한 곳이 있으며 보복이 이른 차 마시러 가거라는 무슨 옳은 곳이 있는가 한다면 더욱 교섭이 없다. 이런 고로 말하되 그는 활구를 참구하고 사구를 참구하지 않는다 하였다. 이 인연은 편신(遍身)이 옳은가 통신(通身)이 옳은가 한 인연(제89칙)과 더불어 일반(一般)이므로 너희가 계교(計較)하여 시비할 곳이 없나니 모름지기 이는 너희의 각근하(脚跟下)의 정나라지(淨裸裸地)라야 바야흐로 고인의 상견처(相見處)를 보리라. 오조노사(五祖老師; 法演)가 이르되 마치 마전(馬前)의 상박(相撲; 씨름)과 상사하다 하였으니 모름지기 이는 안변수친(眼辨手親)해야 하리라(안변수친하지 않으면 말에게 짓밟힘). 이(這箇) 공안을 만약 정안(正眼)으로써 그것을 볼진대 다(俱) 득실처가 없는 곳에서 저(箇) 득실을 분변하며 친소(親疏)가 없는 곳에서 저(箇) 친소를 나눔인지라 장경도 또한 모름지기 보복에게 예배해야 비로소 옳나니 무슨 연고냐 하면 이(這箇) 사자(些子)의 교묘한 곳을 용득(用得)함이 훌륭하나니 마치 전전성비(電轉星飛)함과 상사하여 보복이 아상(牙上)에 아(牙)를 내고 조상(爪上)에 조(爪)를 냄에 방애되지 않아서이다. 송해 이르되
●八十一品煩惱; 천태사교의에 이르되 2. 사혹(思惑)을 밝힌다는 것은 81품이 있다. 이르자면 3계를 나누면 9지(地)가 되나니 욕계를 합해 1지(地)로 삼고 4선4정(四禪四定)이 8이 되며 공히 9지가 된다. 욕계 1지 중에 9품의 탐진치만(貪瞋癡慢)이 있다. 말한 9품이란 것은 상상ㆍ상중ㆍ상하, 중상ㆍ중중ㆍ중하, 하상ㆍ하중ㆍ하하다. 상(上)의 8지에 각기 9품이 있고 진사(瞋使)를 제하며 고로 81을 이룬다(九地 중 각기 九品의 貪嗔癡慢이 있고 다만 上의 八地에 嗔이 없음).
●諸漏; 루(漏)는 번뇌의 다른 명칭이니 제루는 곧 모두 번뇌임. 3계의 모든 번뇌를 총섭(總攝)함을 일컬어 3루(漏)라 함. ▲대승의장5. 일체 번뇌가 유주(流注)하여 단절되지 않으며 그것이 창루(瘡漏)와 같은지라 고로 이름하여 루(漏)다.
●無學阿羅漢; 소승 4과(果)의 성자 중에 앞 3과(수다원과ㆍ사다함과ㆍ아나함과)는 이를 일러 유학(有學)이라 하고 제4과(아라한과)는 이를 일러 무학(無學)이라 함. 앞 3과는 아직 가히 수학할 도가 있는 연고임.
●根本煩惱; 또 가로되 본혹(本惑)ㆍ본번뇌임. 이르자면 대승 백법(百法) 중에 탐ㆍ진ㆍ치ㆍ만(慢)ㆍ의(疑)ㆍ악견(惡見)의 6대번뇌임.
●一乘; 성불할 유일한 교임. 승(乘)은 거승(車乘)이 되며 불타의 교법에 비유함. 교법이 능히 사람을 싣고 열반의 언덕으로 운행하는지라 고로 이를 일러 승이라 함. 법화경은 오로지 이 1승을 설함. ▲법화경 방편품. 시방의 불토 중에/ 오직 일승법만 있고/ 둘이 없고 또 셋이 없나니/ 불타의 방편설을 제한다.
●逗敎; 불타의 음교(音敎)를 중생의 심기(心機) 중에 투입함.
●佛以一音演說法; 유마경 불국품. 불타가 일음으로 법을 설하시매 중생이 품류(品類; 類)를 따라 각기 득해(得解)한다.
頭兮第一第二*我王庫中無如是事 古今榜樣 隨邪逐惡作什麽 臥龍不鑒止水同道方知 無處有月波澄四海孤舟獨自行 徒勞卜度 討什麽椀 有處無風浪起嚇殺人 還覺寒毛卓竪麽 打云來也 稜禪客稜禪客勾賊破家 鬧市裏莫出頭 失錢遭罪 三月禹門遭點額退己讓人 萬中無一 只得飲氣呑聲
●我王庫中無如是事; 涅槃經八 佛言 譬如二人共爲親友 一是王子 一是貧賤 如是二人互相往返 是時貧人見是王子有一好刀 淨妙第一 心中貪著 王子後時捉持是刀 逃至他國 於是貧人後於他家寄臥止宿 卽於眠中寱語刀刀 傍人聞之收至王所 …… 王復問言 卿見刀時相貌何類 答言 大王 臣所見者如羖羊角 王聞是已欣然而笑 語言 汝今隨意所至 莫生憂怖 我庫藏中都無是刀
두(頭)의 제일(第一; 第一頭) 제이(第二; 第二頭)여 나의 왕고 중엔 이와 같은 일이 없다(*我王庫中無如是事), 고금의 방양(榜樣)이다. 수사축악(隨邪逐惡)하여 무엇하려느냐. 와룡은 지수(止水)에 비치지 않는다 같은 도라야 비로소 안다. 무처(無處)엔 달이 있고 파도가 맑으며 사해에 고주(孤舟)가 홀로 스스로 간다. 헛되이 노고하며 복탁(卜度)한다. 무슨 사발을 찾는가. 유처(有處無)엔 바람도 없는데 파랑(波浪)이 일어난다 사람을 너무 으르는구나. 도리어 한모(寒毛)가 쭈뼛 섬을 깨닫는가. 때리고 이르되 왔다. 릉선객(稜禪客) 릉선객이여 도적(보복)을 끌어들여 집이 파산했다. 시끄러운 시장 속에 출두하지 말아라(向長慶). 돈 잃고 죄를 만났다. 3월의 우문(禹門; 용문)에서 점액(點額)을 만났다 자기를 물리어(退) 남에게 양보함은 만중(萬中)에 하나가 없나니 다만 음기탄성(飲氣呑聲)함을 얻었다.
●我王庫中無如是事; 열반경8. 불타가 말씀하셨다. 비여(譬如) 두 사람이 함께 친우가 되었는데 하나는 이 왕자며 하나는 이 빈천(貧賤)했다. 이와 같이 두 사람이 호상 왕반(往返)했다. 이때 빈인(貧人)이 이 왕자가 한 호도(好刀가 있음을 보았는데 정묘(淨妙)하여 제일이었으며 심중에 탐착(貪著)했다. 왕자가 후시(後時; 뒷날)에 이 칼(刀)을 착지(捉持)하고 도주하여 다른 나라에 이르렀다. 이에 빈인이 후에 다른 집에서 기와(寄臥; 기탁해 누움)하며 지숙(止宿; 止는 머물 지)하다가 곧 수면 중에 잠꼬대로 말하기를 도(刀), 도(刀). 곁의 사람이 이를 듣고 거두어(收) 왕의 처소에 이르렀다 …… 왕이 다시 물어 말하되 경(卿)이 도(刀)를 보았을 때 상모(相貌)가 어떤 종류였던가. 답해 말하되 대왕이시여 신이 본 바의 것은 고양각(羖羊角)과 같았습니다. 왕이 이를 듣고 나서 흔연(欣然)히 웃으며 어언(語言)하되 너는 지금 이르는 곳을 뜻대로 하고 우포(憂怖)를 내지 말아라. 나의 고장(庫藏) 중엔 도무지 이런 도(刀)가 없다.
頭兮第一第二 人只管理會第一第二 正是死水裏作活計 這箇機巧 爾只作第一第二會 且摸索不著在 雪竇云 臥龍不鑒止水 死水裏豈有龍藏 若是第一第二 正是止水裏作活計 須是洪波浩渺白浪滔天處 方有龍藏 正似前頭云澄潭不許蒼龍蟠 不見道 死水不藏龍 又道 臥龍長怖碧潭清 所以道 無龍處有月波澄 風恬浪靜 有龍處無風起浪 大似保福道喫茶去 正是無風起浪 雪竇到這裏 一時與爾打疊情解頌了也 他有餘韻 教成*文理 依前就裏頭 著一隻眼 也不妨奇特 却道稜禪客稜禪客 三月禹門遭點額 長慶雖是透龍門底龍 却被保福驀頭一點
●文理; 文句及義理 文句爲能詮者 義理爲所詮者 文理融會貫通 經義乃明
두(頭)의 제일(第一; 第一頭) 제이(第二; 第二頭)를 사람들이 다만 관취(管取; 管)하여 제일 제이로 이회(理會; 理解)한다면 바로(正) 이 사수(死水; 止水) 속에서 활계를 짓는 것이다. 이(這箇) 기교(機巧)를 너희가 다만 제일 제이라는 이회를 짓는다면 또한(且) 모색함을 얻지 못하여 있으리라. 설두가 이르되 와룡은 지수(止水)에 비치지 않는다 하니 사수(死水) 속에 어찌 용이 숨어 있으리오. 만약 이 제일 제이라 한다면 바로(正) 이 지수(止水) 속에서 활계를 짓는 것이니 반드시 이 홍파(洪波)가 호묘(浩渺)하고 백랑(白浪)이 도천(滔天)하는 곳이라야 바야흐로 용이 숨어 있으므로 바로 전두(前頭; 제18칙)에 이른 징담(澄潭)은 창룡(蒼龍)의 도사림을 허락하지 않는다와 비슷하다. 말함을 보지 못하느냐 사수(死水)는 용을 감추지 못한다 하며 또 말하되 와룡은 늘 벽담(碧潭)의 맑음을 두려워한다 하였다. 소이로 말하되 용이 없는 곳엔 달이 있고 파도가 맑으며 바람도 잠잠(恬)하고 파랑도 고요하며 용이 있는 곳엔 바람도 없는데 파랑(波浪)이 일어난다 하니 보복이 말한 차 마시러 가거라와 매우 흡사하여 바로 이 바람도 없는데 파랑(波浪)이 일어남이다. 설두가 이 속에 이르러 일시에 너희에게 정해(情解)를 타첩(打疊; 掃除, 收拾)해 주어 송료(頌了)했거니와 그(설두)가 여운(餘韻)이 있어 능히(敎; 能也) 문리(*文理)를 이루어서 의전(依前)히 이두(裏頭; 裏面)로 나아가 1척(隻)의 눈을 붙이니 또한 기특함에 방애되지 않는다. 도리어 말하되 릉선객(稜禪客) 릉선객이여 3월의 우문(禹門; 용문)에서 점액(點額)을 만났다 하니 장경이 비록 이 용문을 통과한 용이지만 도리어 보복에게 갑자기(驀頭) 1점(點)을 입었다.
●文理; 문구 및 의리(義理). 문구는 능전(能詮)하는 자가 되며 의리는 소전(所詮)하는 자가 됨. 문리를 융회(融會)하여 관통해야 경의 뜻을 곧 밝힘.
'벽암록주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제96칙 송(金佛) 평창 (0) | 2021.08.28 |
---|---|
벽암록 제96칙 본칙 평창 송(泥佛) 평창 (0) | 2021.08.28 |
벽암록 제94칙 수시 본칙 평창 송 평창 (0) | 2021.08.28 |
벽암록 제93칙 본칙 평창 송 평창 (0) | 2021.08.28 |
벽암록 제92칙 수시 본칙 평창 송 평창 (0) | 2021.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