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30권)

선문염송집 권29 제1327칙

태화당 2022. 4. 2. 09:21

一三二七首山因僧問 如何是學人親切處 師云 *五九盡日又逢春 僧云 畢竟如何 師云 冬去寒食一百五

 

投子靑頌 日暮陰雲郊野深 重陽到後菊花新 不因西嶠殘冰盡 爭得東山一帶春

 

第一三二七則; 此話出五燈會元十一

五九盡日又逢春; 從冬至到立春 四十五日也

 

一三二七수산(首山), 중이 묻되 무엇이 이 학인의 친절처(親切處)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오구가 다한 날에 또 봄을 만난다(*五九盡日又逢春). 중이 이르되 필경 어떻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동지에서 한식까지 떨어지기가 일백오(一百五; 105).

 

투자청(投子靑)이 송하되 일모(日暮)의 음운(陰雲)에 교야(郊野)가 깊더니/ 중양(重陽)이 이른() 후 국화가 새롭다/ 서교(西嶠; 서산)의 잔빙(殘冰)이 없어짐을 인하지 않는다면/ 어찌 동산(東山) 일대(一帶)의 봄을 얻겠는가.

 

第一三二七則; 차화는 오등회원11에 나옴.

五九盡日又逢春; 동지로부터 입춘에 이르기까지 45일임.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daum.net)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blog.daum.net

 

'선문염송집주(30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9 제1329칙  (0) 2022.04.02
선문염송집 권29 제1328칙  (0) 2022.04.02
선문염송집 권29 제1326칙  (0) 2022.04.02
선문염송집 권29 제1325칙  (0) 2022.04.02
선문염송집 권29 제1324칙  (0) 2022.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