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三三二】首山因僧問 如何是梵音相 師云 驢鳴狗吠
大覺璉頌 驢子鳴 狗兒吠 南北喧天 東西搕地 令人拍手笑呵呵 三箇猢猻洒巴鼻
淨嚴遂頌 *目連求佛梵音相 運盡神通不見邊 誰悟驢鳴幷犬吠 *圓音落落示人天 〈*此錄僧問護國和尙〉
●第一三三二則; 此話出傳燈錄十三
●目連求佛梵音相; 佛九十日在忉利天 爲母說法時 優塡王思佛 請目連以神通 三度攝諸匠人 往彼雕佛形相 只雕得三十一相 唯有梵音相雕不得 見上第二三六則
●圓音; 指佛語
●此錄; 禪宗頌古聯珠通集三十四 護國澄因僧問 如何是梵音相 師曰 河北驢鳴 河南犬吠 ▲五燈會元十三護國守澄 上堂 諸方老宿 盡在曲彔木牀上爲人 及有人問著祖師西來意 未曾有一人當頭道著 時有僧問 請和尙當頭道 師曰 河北驢鳴 河南犬吠
【一三三二】 수산(首山)이,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범음상(梵音相)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나귀의 울음과 개가 짖음이다.
대각련(大覺璉)이 송하되 여자(驢子; 나귀. 子는 조사)가 울고/ 구아(狗兒; 兒는 조사)가 짖으면서/ 남북은 하늘이 시끄럽고/ 동서는 땅을 친다/ 사람으로 하여금 박수하며 하하 웃게 하나니/ 세 개의 호손(猢猻; 원숭이)이 파비(巴鼻)를 씻는다.
정엄수(淨嚴遂)가 송하되 목련이 불타의 범음상을 구하려고(*目連求佛梵音相)/ 신통을 운행해 다했으나 변제(邊際)를 보지 못했다/ 누가 깨닫느냐, 나귀가 울고 아울러 개가 짖으면서/ 원음(*圓音)이 낙락(落落)하여 인천(人天)에게 보이는 줄을. 〈차록(*此錄)은 중이 호국화상(護國和尙)에게 물었음〉.
●第一三三二則; 차화는 전등록13에 나옴.
●目連求佛梵音相; 부처가 90일 동안 도리천에 있으면서 모친을 위해 설법했을 때 우전왕(優塡王)이 부처를 사모하여 목련(目連)에게 청하자 신통으로 세 차례 여러 장인(匠人)을 데리고 거기에 가서 불타의 형상(形相)을 조각했다. 다만 31상만 조각해 얻고 오직 범음상(梵音相)이 있어 조각함을 얻지 못했다. 위 제236칙을 보라.
●圓音; 불타의 말씀을 가리킴.
●此錄; 선종송고연주통집34. 호국징(護國澄)이,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범음상(梵音相)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가로되 하북에선 나귀가 울고 하남에선 개가 짖는다. ▲오등회원13 호국수징(護國守澄). 상당. 제방의 노숙이 모두 곡록목상(曲彔木牀) 위에 있으면서 사람을 위하지만 어떤 사람이 조사서래의를 물음에 이르러선 일찍이 한 사람도 당두(當頭; 당면)에 말함이 있지 않다. 때에 어떤 중이 묻되 청컨대 화상이 당두(當頭)에 말하십시오. 스님이 가로되 하북에선 나귀가 울고 하남에선 개가 짖는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daum.net)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blog.daum.net
'선문염송집주(30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9 제1334칙 (0) | 2022.04.02 |
---|---|
선문염송집 권29 제1333칙 (0) | 2022.04.02 |
선문염송집 권29 제1331칙 (0) | 2022.04.02 |
선문염송집 권29 제1330칙 (0) | 2022.04.02 |
선문염송집 권29 제1329칙 (0) | 2022.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