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문무고

종문무고(宗門武庫) 067

태화당 2022. 8. 19. 08:40

67*梁山觀和尙會下 有箇園頭參得禪 衆中多有不信者 一日有僧去*撩撥他 要其露箇消息 乃問 園頭何不出問堂頭一兩則話結緣 園頭云 我除是不出問 若出須敎這老漢下禪床立地在 及梁山上堂 果出問曰 家賊難防時如何 山云 識得不爲冤 曰識得後如何 山云 貶向無生國裏 曰莫是他安身立命處也無 山云*死水不藏龍 曰如何是*活水裏龍 山云興波不作浪 曰忽然傾湫倒嶽時如何 梁山果然從法座上走下把住云 *闍梨莫敎濕著老僧*袈裟角 師云 須知悟底人與悟底人相見 自然縱奪可觀

 

梁山觀; 緣觀 宋代曹洞宗僧 嗣同安觀志(良价下三世) 居鼎州(今湖南常德)梁山 [傳燈錄二十四]

撩撥; 挑弄 挑發

死水; 指靜止而不流動之水

活水; 有源頭而常流動的水

闍梨; 梵語阿闍梨的簡稱 又作闍黎 意爲僧人之師 常用作對僧人的稱呼

袈裟; <> kaṣāya 指纏縛於僧衆身上之法衣 以其色不正而稱名 祖庭事苑三 袈裟 梵云袈裟 此言不正色 律云 一切上色衣不得畜 當作袈裟 業疏曰 字本作迦沙

 

67양산관(*梁山觀) 화상의 회하(會下)에 어떤(有箇) 원두(園頭)가 선()을 참득(參得)했으나 중중(衆中)에 불신하는 자가 많이 있었다. 어느 날 어떤 중이 가서 그를 요발(*撩撥)하여 그에게 저() 소식(消息)을 드러내게 하려고 했다. 이에 묻되 원두(園頭)는 왜 나가서 당두(堂頭; 주지)에게 한두 칙의 화()를 물어 결연(結緣)하지 않는가. 원두가 이르되 내가 이 출문(出問; 나가서 묻다)하지 않았을 뿐()이다. 만약 나간다면 모름지기 이 노한(老漢)으로 하여금 선상(禪床)에서 내려와 땅에 서 있게 할 것이다. 양산(梁山)이 상당(上堂)함에 이르자 과연 나가서 물어 가로되 가적(家賊)을 방어(防禦)하기 어려울 땐 어떻습니까. 양산이 이르되 식득(識得)하면 원수(怨讎; )가 되지 않는다. 가로되 식득한 후엔 어떻습니까. 양산이 이르되 무생국(無生國) 속을 향해 떨어뜨린다(). 가로되 이는 그의 안신입명처(安身立命處)가 아니겠습니까 또는 아닙니까. 양산이 이르되 사수(*死水)는 용을 감추지 못한다. 가로되 무엇이 이 활수(*活水) 속의 용입니까. 양산이 이르되 파도를 일으켜도 파랑(波浪)을 짓지 않는다. 가로되 홀연히 경추도악(傾湫倒嶽; 늪을 기울이고 큰 산을 뒤엎다)할 땐 어떻습니까. 양산이 과연 법좌로 좇아 달려 내려와 파주(把住)하고 이르되 사리(*闍梨)는 노승의 가사(*袈裟) 모서리를 젖게 하지 말아라. 스님(대혜)이 이르되 모름지기 알지니 깨친 사람이 깨친 사람과 더불어 상견하면 자연히 종탈(縱奪)을 가히 볼 만하다.

 

梁山觀; 연관(緣觀)이니 송대 조동종승. 동안관지(同安觀志; 양개하 3)를 이었고 정주(지금의 호남 상덕) 양산(梁山(에 거주했음 [전등록24].

撩撥; 도롱(挑弄; 돋우어 희롱함). 도발(挑發; 남을 집적거려 일이 일어나게 함).

死水; 정지하여 유동하지 않는 물을 가리킴.

活水; 원두(源頭)가 있으면서 늘 유동하는 물.

闍梨; 범어 아사리(阿闍梨; ācārya)의 간칭. 또 사리(闍黎)로 지음. 뜻이 승인의 스승이 됨. 상용하여 승인에 대한 칭호로 지음.

袈裟; <> kaṣāya. 승중의 몸 위를 전박(纏縛)하는 법의를 가리킴. 그 색의 부정(不正)으로써 칭명(稱名). 조정사원3. 가사(袈裟) 범어로 이르되 가사는 여기 말로든 부정색(不正色; 정색인 적ㆍ황ㆍ백ㆍ청ㆍ흑이 아님). 율에 이르되 일체의 상색(上色; 좋은 색)의 옷은 수용(受容; )함을 얻지 못하나니 마땅히 가사를 지어야 한다. 업소(業疏; 南山의 업소)에 가로되 글자가 본디 가사(迦沙)로 지어졌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종문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문무고(宗門武庫) 069  (0) 2022.08.19
종문무고(宗門武庫) 068  (0) 2022.08.19
종문무고(宗門武庫) 066  (0) 2022.08.17
종문무고(宗門武庫) 065  (0) 2022.08.17
종문무고(宗門武庫) 064  (0) 2022.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