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보훈합주

선림보훈합주 128

태화당 2022. 10. 20. 08:47

128 佛眼謂高菴曰 百丈淸規 大槩標正檢邪 軌物齊衆 乃因時以制後人之情 夫人之情猶水也 規矩禮法爲隄防 隄防不固 必致奔突 人之情不制則肆亂 故去情息妄 禁惡止邪 不可一時亡規矩 然則規矩禮法 豈能盡防人之情 茲亦助入道之*階墀也 規矩之立 昭然如日月 望之者不迷 擴乎如大道 行之者不惑 先聖建立雖殊 歸源無異 近代叢林 有力役規矩者 有死守規矩者 有*視規矩者 斯皆背道失禮縱情逐惡而致然 曾不念先聖捄末法之弊 禁放逸之情 塞嗜欲之端 絕邪僻之路故 所以建立也東湖集

階墀; 上階級也 下丹墀也 謂淺而深也

; 輕也

 

128 불안(佛眼; 淸遠)이 고암(高菴)에게 일러 가로되 백장청규(百丈淸規)는 대개(大槩) 정법(正法)을 표현(標顯)하고 사행(邪行)을 검속(檢束)하여 사람()에게 궤법(軌法; )케 하고 대중을 정제(整齊; )코자 하여 이에 인시(因時)하여 후인(後人)의 정식(情識; )을 조제(調制)했다. 무릇 사람의 정식(情識)은 물과 같고() 규구(規矩)와 예법(禮法)은 제방(隄防)이 된다. 제방이 견고하지 못하면 반드시 분돌(奔突; 奔衝하면서 突出)에 이르게 되고 사람의 정식을 조제(調制)하지 않으면 곧 사란(肆亂; 放肆하면서 淫亂)한지라 고로 정식을 제거하고 망상(妄想)을 지식(止息)하고 악념(惡念)을 금지하고 사행(邪行)을 정지(停止)하나니 일시(一時)라도 규구(規矩)를 없앰()은 옳지 못하다. 그러나 곧 규구와 예법이 어찌 능히 사람의 정식을 모두() 방지하겠는가. 이것() 또한 입도(入道)를 도우는 계지(*階墀). 규구의 건립(建立; )이 소연(昭然)하기가 일월(日月)과 같으매 이를 바라보는 자는 불미(不迷)하고 확대(擴大)하매 대도(大道)와 같아서 이를 행하는 자는 불혹(不惑)한다. 선성(先聖)의 건립이 비록 달라도() 귀원(歸源)은 다름()이 없다. 근대 총림에서 규구에 역역(力役; 勞役. 服役)하는 자가 있고 규구를 사수(死守)하는 자가 있고 규구를 멸시(*)하는 자가 있나니 이는 모두 배도(背道)하고 실례(失禮)하며 종정(縱情)하고 축악(逐惡)하여 그러함에 이른 것이다(). 일찍이 선성(先聖)이 말법지폐(末法之弊)를 구조(救助; )하고 방일지정(放逸之情)을 금지(禁止; )하고 기욕지단(嗜欲之端)을 색단(塞斷; )하고 사벽지로(邪僻之路)를 단절(斷絶; )하려 한 연고로 소이로 건립했음을 생각하지 못한다. 東湖集.

階墀; 상은 계급(階級)이며 하는 단지(丹墀)니 이르자면 얕고도 깊음이다.

; ()이다.

 


百丈淸規; 敕修百丈淸規 八卷(又作二卷) 略稱敕修淸規 百丈淸規 元朝東陽德輝編 全悟大訢及學業沙門等共校正 收於大正藏第四十八冊 元朝至元二年(1336) 蒙順宗之敕 德輝乃重編百丈古淸規 於百丈山大智壽聖禪寺 對照參考古淸規 校定淸規 備用淸規 和幻住淸規等 合而編輯 內容分九章 一祝釐章 列擧對朝廷之六項祝讚法式 二報恩章 頌讚國恩之遺勳及佛恩之廣大 三報本章 擧佛誕生 佛成道 佛涅槃之目次 竝高唱報恩之精神 四尊祖章 擧達磨忌 百丈忌 開山忌 嗣法師忌等四忌以報祖師之恩德 五住持章 揭出上堂 小參 入院 遷化等十七目 以示住持人之日用行持 六兩序章 示兩序之進退 侍者之去就 湯茶煎點之法式 及列職雜務等 共二十一項 七大衆章 示沙彌之得度 新戒之參堂等 乃至遊方參請 赴齋粥 普請 病僧念誦等日用之規範 八節臘章 關於結制 戒臘 念誦等諸事 九法器章 詳擧鐘 版 木魚 磬 鼓等一切法器 竝敎示鳴打之法 網羅禪林淸規之大綱 卷首有至元二年之上諭 正統七年四月禮部尙書胡湛等重刊序 卷末有百丈祖師塔銘 黃溍之百丈山天下師表閣記 楊億之古淸規序 崇寧淸規序 咸淳淸規序 至大淸規序 及至元二年三月翰林直學士歐陽玄之序 同四年三月德輝之自序等 [大明三藏聖敎北藏目錄四 永平淸規下 僧堂淸規凡例 禪學思想史上]

칙수백장청규(敕修百丈淸規)8(2권으로 지음)이며 약칭이 칙수청규(敕修淸規)ㆍ백장청규(百丈淸規). 원조(元朝) 동양덕휘(東陽德輝)가 편()하고 전오대흔(全悟大訢)과 및 학업사문(學業沙門) 등이 함께 교정(校正)했으며 대정장(大正藏) 48책에 수록되었음. 원조 지원(至元) 2(1336) 순종(順宗)의 칙명을 받아 덕휘(德輝)가 이에 백장고청규(百丈古淸規)를 중편(重編)했는데 백장산 대지수성선사(大智壽聖禪寺)에서 고청규(古淸規)ㆍ교정청규(校定淸規)ㆍ비용청규(備用淸規)와 환주청규(幻住淸規) 등을 대조하고 참고하여 합해 편집(編輯)했음. 내용은 9()으로 나뉘었음. 1. 축희장(祝釐章) 조정에 대한 6항의 축희법식을 열거했음. 2. 보은장(報恩章) 국은(國恩)의 유훈(遺勳) 및 불은의 광대함을 송찬(頌讚)했음. 3. 보본장(報本章) 불탄생ㆍ불성도ㆍ불열반의 목차를 들고 아울러 보은의 정신을 고창(高唱)했음. 4. 존조장(尊祖章) 달마기(達磨忌)ㆍ백장기ㆍ개산기ㆍ사법사기 등 4()를 들고 조사의 은덕에 보은했음. 5. 주지장(住持章) 상당ㆍ소참ㆍ입원ㆍ천화 등 17()을 게출(揭出)하고 주지인의 일용의 행지(行持)를 보였음. 6. 양서장(兩序章) 양서의 진퇴ㆍ시자의 거취ㆍ탕다전점(湯茶煎點)의 법식 및 열직잡무(列職雜務) 등 공히 21항을 보였음. 7. 대중장(大衆章) 사미의 득도ㆍ신계(新戒)의 참당(參堂) 등과 내지 유방참청(遊方參請)ㆍ부재죽(赴齋粥)ㆍ보청ㆍ병승염송(病僧念誦) 등 일용의 규범을 보였음. 8. 절랍장(節臘章) 결제ㆍ계랍(戒臘)ㆍ염송(念誦) 등 제사(諸事)에 관한 것임. 9. 법기장(法器章) 종ㆍ판ㆍ목어ㆍ경()ㆍ고() 등 일체 법기를 상세히 들고 아울러 명타지법(鳴打之法)을 교시(敎示)하고 선림청규의 대강(大綱)을 망라했음. 권수(卷首)에 지원 2년의 상유(上諭)와 정통 74월 예부상서 호담 등의 중간서(重刊序)가 있음. 권말에 백장조사탑명ㆍ황진(黃溍)의 백장산천하사표각기ㆍ양억(楊億)의 고청규서ㆍ숭녕청규서ㆍ함순청규서ㆍ지대청규서 및 지원 23월 한림직학사 구양현의 서, 43월 덕휘의 자서 등이 있음 [대명삼장성교북장목록4. 영평청규하. 승당청규범례. 선학사상사상].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130  (0) 2022.10.21
선림보훈합주 129  (0) 2022.10.20
선림보훈합주 127  (0) 2022.10.20
선림보훈합주 126  (0) 2022.10.19
선림보훈합주 125  (0) 2022.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