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 雪堂曰 學者不知道之所向 則尋師友以參扣之 善知識不可以道之獨化 故假學者*贊祐之 是以主招提有道德之師 而成法*社 必有賢智之衲子 是爲*虎*嘯風*冽 *龍*驤雲起 昔江西馬祖 因百丈南泉而顯其大機大用 南嶽石頭 得*藥山*天皇而著其大智大能 所以千載一合 論說無疑 *翼然若*鴻毛之遇風 *沛乎似巨魚之縱壑 皆自然之勢也 遂致建叢林功勳 增佛祖光耀 先師住龍門 一夕謂予曰 我無德業 不能浩歸湖海衲子 終愧老東山也 言畢*澘然 予甞思之 今爲人師法者 與古人相去倍萬矣〈與竹菴書〉
●贊祐; 佐助也
●社; 席也會也
●嘯; 吹氣之聲
●冽; 寒氣也
●驤; 騰躍遠擧之貌
●虎嘯龍驤; 易乾卦九五 飛龍在天 利見大人 何謂也 子曰 同聲相應 同氣相求 水流濕 火就燥 雲從龍 風從虎 聖人作而萬物覩 本乎天者親乎上 本乎地者親乎下 則各從其類也
●藥山; 澧州藥山惟儼禪師 絳州韓氏子 嗣石頭遷禪師
●天皇; 荊州天皇道悟禪師 婺州東陽張氏子 嗣石頭禪師
●翼; 飛擧之貌
●鴻; 大雁也
●沛; 水流下急之貌
●潸; 音山 淚下之貌
【158】 설당(雪堂; 道行)이 가로되 학자가 도(道)의 소향(所向)을 알지 못하면 곧 사우(師友)를 찾아서 그에게 참구(參扣)하며 선지식이 가이(可以) 도를 독화(獨化)하지 못하는지라 고로 학자가 그를 찬우(*贊祐)함을 빌린다. 이런 까닭으로 초제(招提)를 주지(主持)하면서 도덕지사(道德之師)가 있어야 법사(法*社)를 이루나니 반드시 현지(賢智)의 납자가 있어야 한다. 이것이 호소(*虎*嘯)하면 풍렬(風*冽)하고 용취(*龍*驤)하면 운기(雲起)함이 되는 것이다. 옛적에 강서(江西)의 마조(馬祖; 道一)가 백장(百丈; 懷海)과 남천(南泉; 普願)으로 인해 그 대기대용(大機大用)을 나타내었고(顯) 남악(南嶽)의 석두(石頭; 希遷)가 약산(*藥山)과 천황(*天皇)을 얻어 그 대지대능(大智大能)이 나타났다(著). 소이로 천재(千載)에 일합(一合)하여 논설하매 의심이 없었다. 익연(*翼然)함은 홍모(*鴻毛)의 우풍(遇風)과 같고(若) 패호(*沛乎)함은 거어(巨魚)의 종학(縱壑; 深溝에서 자유롭게 縱橫함)과 같나니(似) 모두 자연의 형세(形勢)인지라 드디어 총림의 공훈(功勳)을 건립하고 불조의 광요(光耀)를 증익(增益)함에 이른다. 선사(先師; 淸遠)가 용문(龍門; 용문사)에 주(住)하면서 일석(一夕)에 나에게 일러 가로되 나는 덕업(德業)이 없어 능히 호해(湖海)의 납자를 호귀(浩歸)하지 못했으니 마침내 노동산(老東山; 法演)에게 부끄럽다. 말씀을 마치지 산연(*澘然)했다. 내가 일찍이 이를 사유했는데 여금에 사람들의 사법(師法)이 되는 자는 고인과 서로 떨어짐이 배만(倍萬; 萬倍)이다. 〈與竹菴書〉.
●贊祐; 좌조(佐助)다.
●社; 석(席)이다. 회(會)다.
●嘯; 취기(吹氣)하는 소리.
●冽; 한기(寒氣)다.
●驤; 등약(騰躍)하며 멀리 나는(擧; 飛也) 모양이다.
●虎嘯龍驤; 역 건괘(乾卦) 구오(九五) 비룡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을 봄이 이롭다. 무엇을 말함인가. 공자가 가로되 동성(同聲)으로 상응하고 동기(同氣)로 상구(相求)하나니 물은 습한 데로 흐르고 불은 건조한 데로 나아가고 구름은 용을 따르고 바람은 범을 따른다. 성인이 일어나면(作) 만물을 본다. 하늘을 근본으로 하는 자는 위와 친하고 땅을 근본으로 하는 자는 아래와 친하나니 곧 각기 그 무리를 따른다.
●藥山; 예주(澧州; 지금의 호남 澧縣) 약산(藥山) 유엄선사(惟儼禪師; 751-834)니 강주(絳州; 지금의 산서성 新絳) 한씨(韓氏)의 아들이며 석두천(石頭遷; 希遷이니 靑原行思의 法嗣) 선사를 이었다.
●天皇; 형주(荊州; 지금의 호북성 長江 北岸 荊州府 江陵縣) 천황(天皇; 천황사) 도오선사(道悟禪師; 748-807)니 무주(婺州) 동양(東陽) 장씨(張氏)의 아들이며 석두선사(石頭禪師)를 이었다.
●翼; 비거(飛擧)하는 모양.
●鴻; 대안(大雁)이다.
●沛; 물이 아래로 흐르며 급한 모양.
●潸; 음이 산(山)이니 눈물이 떨어지는 모양.
參扣; 謁見禪師 扣問禪法
선사를 알현하여 선법을 구문(扣問)함.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160 (0) | 2022.10.31 |
---|---|
선림보훈합주 159 (0) | 2022.10.30 |
선림보훈합주 157 (0) | 2022.10.30 |
선림보훈합주 156 (0) | 2022.10.29 |
선림보훈합주 155 (0) | 2022.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