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보훈합주

선림보훈합주 262

태화당 2022. 12. 3. 08:53

262 密菴謂水菴曰 人有毁辱 當順受之 詎可輕聽聲言 妄陳*管見 大率便佞有類 邪巧多方 懷*險詖者 好逞私心 起*猜忌偏廢公議 葢此輩趨向狹促 所見暗短 固以自異爲不羣 以*議爲出衆 然旣知我所用終是 而毁謗固自在彼 久而自明 不須別白 亦不必主我之是而*觸於人 則庶可以爲林下人也與水菴書

管見; 小見也 如管窺天 能見多許 此言識見暗短 而無高明遠大之見者

險詖; 不平謟詐之言

猜忌; 心多疑曰猜 意多憎曰忌

; 壞也 止遏也

; 攻發人之陰私曰訐

 

262 밀암(密菴; 咸傑)이 수암(水菴; 師一)에게 일러 가로되 타인이 훼욕(毁辱; 毁謗耻辱)함이 있더라도 마땅히 순수(順受)할지니 어찌() 가히 성언(聲言)을 가볍게 듣고서 허망하게 관견(*管見)을 진설(陳設)하리오. 대솔(大率; 大槪) 편녕(便佞)한 이는 품류(品類)가 있고 사교(邪巧)는 다방(多方; 여러 방법)이다. 험피(*險詖)를 품은 자는 사심(私心)을 자랑하기() 좋아하고 시기(*猜忌)를 일으키는 자는 공의(公議)를 편폐(偏廢)한다. 대개 차배(此輩)는 추향(趨向; 趣向. 저본에 趨尙으로 지었음)이 협촉(狹促)하고 소견(所見)이 암단(暗短)하여 이에() 자기는 특이하여 불군(不羣)이라 하고 저의(*; 衆人公議를 무너뜨리다)를 출중(出衆)이라 하지만 그러나 이미 나의 운용(運用)하는 바가 마침내 옳거늘 훼방함은 이에() 저절로 그에게 있는지라 오래되면 자명(自明)하리니 별백(別白; 명백하게 분변함)을 쓰지 말며 또한 나의 옳음을 주장하여 타인을 알촉(*)함이 필요하지 않나니 곧 거의() 가이(可以) 임하인(林下人)이라 하리라. 與水菴書.

管見; 은 견해니 마치 대롱으로 하늘을 엿보면서 능히 많은 것을 본다 함과 같다. 이 말은 식견이 어둡고 짧아서 고명(高明)하고 원대한 견해가 없는 자이다.

險詖; 불평(不平)하는 첨사(諂詐; 저본에 謟詐로 지었음)의 말이다.

猜忌; 마음에 의심이 많음을 가로되 시()며 뜻에 증오가 많음을 가로되 기().

; (). 지알(止遏; 阻止. 抑制)이다.

; 남의 음사(陰私; 개인의 비밀)를 공격해 발로(發露; )함을 가로되 알()이다.

 


偏廢; 重視其中一部分而忽視其他部分

그 가운데 일부분을 중시하여 기타의 부분을 홀시(忽視).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과. 가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264  (0) 2022.12.04
선림보훈합주 263  (0) 2022.12.04
선림보훈합주 261  (0) 2022.12.03
선림보훈합주 260  (0) 2022.12.03
선림보훈합주 259  (0) 202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