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보훈합주

선림보훈합주 263

태화당 2022. 12. 4. 08:42

263 *自得輝和尙曰 大凡衲子 誠而向正 雖愚亦可用 佞而懷邪 雖智終爲害 大率林下人操心不正 雖有才能而終不可立矣見簡堂書

自得輝; 杭州淨慈自得慧輝禪師 會稽張氏子 嗣天童正覺禪師

 

263 자득휘(*自得輝) 화상이 가로되 대범(大凡) 납자가 성실(誠實)하면서 취향이 단정(端正)하면 비록 우둔하더라도 가히 기용(起用)하고 첨녕(諂佞; )하면서 사념(邪念)을 품었다면 비록 지혜롭더라도 마침내 해()가 된다. 대솔(大率; 大槪) 임하인(林下人)의 조심(操心; 執持心志)이 부정(不正)하면 비록 재능이 있더라도 마침내 가히 세우지() 못한다. 見簡堂書.

自得輝; 항주(杭州) 정자(淨慈; 정자사) 자득(自得; 賜號) 혜휘(慧輝; 1097-1183. 慧暉로 지음) 선사니 회계(會稽) 장씨(張氏)의 아들이며 천동정각(天童正覺; 丹霞子淳法嗣) 선사를 이었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과. 가

pyungsimsa.tistory.com

 

'선림보훈합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보훈합주 265  (0) 2022.12.04
선림보훈합주 264  (0) 2022.12.04
선림보훈합주 262  (0) 2022.12.03
선림보훈합주 261  (0) 2022.12.03
선림보훈합주 260  (0) 2022.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