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단경

단경 附錄 六祖大師緣記外記 02

태화당 2023. 1. 3. 08:26

南歸隱遯 至儀鳳元年丙子正月八日 會印宗法師詰論玄奧 印宗悟契師旨 是月十五日 普會四衆 爲師薙𩬊 二月八日 集諸名德具足戒 西京智光律師 爲授戒師 蘇州慧靜律師 爲羯磨 荊州通應律師 爲敎授 中天耆多羅律師 爲說戒 西國蜜多三藏 證戒 其戒壇乃宋朝求那跋陀羅三藏創建 立碑曰 後當有肉身菩薩於此授戒 又梁天監元年 智藥三藏自西竺國航海而來 將彼土菩提樹一株植此壇畔 亦預誌曰 後一百七十年 有肉身菩薩 於此樹下開演上乘度無量衆 眞傳佛心印之法主也 師至是祝髮受戒 及與四衆開示單傳之旨 一如昔讖梁天監元年壬午歲 至唐儀鳳元年丙子 得一百七十五年

 

남쪽으로 돌아가 은둔(隱遯)했다가 의봉(儀鳳) 원년(元年; 676) 병자(丙子) 정월 8일에 이르러 인종법사(印宗法師)를 만나() 현오(玄奧)를 힐론(詰論)했는데 인종이 스님의 의지(意旨)에 오계(悟契)했다. 이 달 15일에 4()을 널리 모아 스님을 위해 치발(薙𩬊; 薙髮과 같음)했고 28일 여러 명덕(名德)을 모아 구족계(具足戒)를 주었다. 서경(西京; 長安) 지광율사(智光律師)는 수계사(授戒師)가 되었고 소주(蘇州) 혜정율사(慧靜律師)는 갈마(羯磨)가 되었고 형주(荊州) 통응율사(通應律師)는 교수(敎授)가 되었고 중천(中天)의 기다라율사(耆多羅律師)는 설계(說戒)가 되었고 서국(西國) 밀다삼장(蜜多三藏)은 증계(證戒)가 되었다. 그 계단(戒壇)은 곧 송조(宋朝) 구나발다라(求那跋陀羅) 삼장이 창건했는데 입비(立碑)하여 가로되 후에 마땅히 육신보살(肉身菩薩)이 있어 여기에서 수계(授戒)할 것이다. 또 양() 천감(天監) 원년(元年; 502) 지약삼장(智藥三藏)이 서축국(西竺國; 西天竺國)으로부터 항해(航海)하여 왔는데 그 국토의 보리수(菩提樹) 1()를 가져다 이 계단 가에 심고 또한 미리 기록()해 가로되 17십 년 후에 육신보살이 있어 이 나무 아래에서 상승(上乘)을 개연(開演)하여 무량중(無量衆)을 제도하리니 참으로 부처의 심인(心印)을 전하는 법주(法主). 스님이 이에 이르러 축발(祝髮)하고 수계했으며 및 4()에게 단전지지(單傳之旨)를 개시(開示)하여 주었으니 옛적의 참()과 일여(一如)하다. 양 천감 원년 임오세(502)에서 당 의봉 원년 병자(676)에 이르기까지 175년을 얻는다.

 


名德; 著名高僧 有名德西堂 名德首座等

저명한 고승. 명덕서당ㆍ명덕수좌 등이 있음.

 

具足戒; <> upasaṃpanna upasaṃpadā 又作近圓戒 大戒 略稱具戒 指比丘比丘尼所應受持之戒律 因與沙彌沙彌尼所受十戒相比 戒品具足 故稱具足戒 一般而言 比丘戒有二五戒 比丘尼戒有三四八戒

<> upasaṃpanna. upasaṃpadā. 또 근원계(近圓戒)ㆍ대계로 지음. 약칭이 구계. 비구와 비구니가 응당 수지하는 바의 계율이니 사미와 사미니가 수지하는 바의 10계와 서로 비교하매 계품이 구족함으로 인해 고로 명칭이 구족계임. 일반으로 말하자면 비구계는 250계가 있고 비구니계는 348계가 있음.

 

授戒師; 受戒和尙 爲信徒傳授戒法的和尙 爲授戒三師之一 受 通授

수계화상(受戒和尙)이니 신도에게 계법을 전수(傳授)하는 화상이 됨. 수계 3()의 하나가 됨. ()는 수()와 통함.

 

蘇州; 江蘇省南東部都市吳縣的古稱 漢代以來 江南經濟文化中心地

강소성 남동부 도시 오현의 고칭(古稱). 한대(漢代) 이래 강남의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임.

 

羯磨; <> karman 一譯曰作業 作授戒懺悔等業事之一種宣告式也 以由此宣告文而其事成就故也 二同羯磨闍梨 此指二

<> karman. 1. 번역해 가로되 작업임. 수계나 참회 등의 업사(業事)를 짓는 일종의 선고식(宣告式)이니 이 선고문으로 말미암아 그 일을 성취하는 연고임. 2. 갈마사리(羯磨闍梨)와 같음. 여기에선 2를 가리킴.

 

荊州; 今湖北省長江北岸荊州府江陵縣 北接漢水流域 自古爲南北交通之要衝 白馬寺 長沙寺 天皇寺 竹林寺 承天寺 永泰寺 及天台智顗大通神秀所住玉泉寺等 並在此地

지금의 호북성 장강 북안의 형주부 강릉현이니 북으로 한수(漢水) 유역(流域)과 인접했고 자고로 남북 교통의 요충(要衝)이 되었음. 백마사ㆍ장사사ㆍ천황사ㆍ죽림사ㆍ승천사ㆍ영태사 및 천태지의(天台智顗)와 대통신수(大通神秀)가 거주했던 바의 옥천사(玉泉寺) 등이 모두 이 지역에 있음.

 

敎授; 敎授師 卽敎授阿闍梨 五種阿闍梨之一 敎授弟子威儀作法等之比丘稱 受戒之時 三師之一

교수사(敎授師), 곧 교수아사리니 5종 아사리(阿闍梨)의 하나. 제자의 위의와 작법 등을 교수하는 비구를 일컬음. 수계할 때의 3()의 하나.

 

中天; 中天竺 天竺分五分 其中央部云中天竺

중천축이니 천축을 5부분으로 나누는데 그 중앙부를 이르되 중천축임.

 

說戒; 指爲受戒者講解戒律

수계자를 위해 계율을 강해(講解)함을 가리킴.

 

三藏; 此爲三藏法師之略 精通經律論三藏之法師

여기에선 삼장법사의 약칭이 됨. 경률론 3장에 정통한 법사.

 

證戒; 參加授具足戒儀式 爲受戒者作法證

구족계를 수여하는 의식에 참가하여 수계자를 위해 작법(作法)하여 증명함.

 

求那跋陀羅; <> Guṇabhadra (394-468) 此云功德賢 中天竺人 幼學五明諸論 天文書算 精硏三藏 通大乘學 有摩訶衍號 劉宋元嘉十二年(435)至廣州 宋太祖遣使迎至京師 譯出雜阿含經 法鼓經 勝鬉經 楞伽經 無量壽經等 共百餘卷 [梁高僧傳三 釋氏六帖九 開元釋敎錄五]

<> Guṇabhadra. (394-468) 여기에선 이르되 공덕현이며 중천축 사람. 어릴 적에 5()의 여러 논과 천문과 서산(書算)을 배웠고 3()을 정밀하게 연구했음. 대승학에 통달해 마하연이란 호가 있음. 유송 원가 12(435) 광주에 이르자 송 태조가 사신을 보내어 영접해 경사에 이르게 했음. 잡아함경ㆍ법고경ㆍ승만경ㆍ릉가경ㆍ무량수경 등 모두 백여 권을 번역해 내었음 [양고승전3. 석씨육첩9. 개원석교록5].

 

肉身菩薩; 指生身菩薩 卽以父母所生之身而至菩薩深位者

생신보살을 가리킴. 곧 부모가 낳은 바의 몸으로 보살의 심위(深位)에 이른 자임.

 

法主; ()意謂佛法之主 原是對佛之敬稱 後轉爲說法之主 ()僧官之稱 按僧史略中曰 宋齊之世 曾立法主一員 故道猷勅爲新安寺鎭寺法主 法瑗爲湘宮寺法主 至唐末多立 受依止闍梨一員 亦稱法主 此指(1)

(1). 뜻으로 이르자면 불법의 주()니 원래 이는 불타에 대한 경칭이나 후에 전()하여 설법의 주가 되었음. (2). 승관(僧官)의 칭호니 승사략중을 안험컨대 가로되 송제(宋齊)의 시대에 일찍이 법주(法主) 1()을 세웠다. 고로 도유(道猷)를 칙명으로 신안사(新安寺) 진사(鎭寺)의 법주(法主)로 삼았으며 법원(法瑗)을 상궁사 법주로 삼았다. 당말(唐末)에 이르러 많이 세웠으니 의지하는 사리(闍梨) 1()만 접수해도 또한 법주로 일컬었다. 여기에선 (1)을 가리킴.

 

單傳; 祖庭事苑五 單傳 傳法諸祖 初以三藏敎乘兼行 後達摩祖師單傳心印 破執顯宗 所謂敎外別傳 不立文字 直指人心 見性成佛

조정사원5. 단전(單傳) 전법한 제조가 처음엔 삼장교승을 겸행했다. 뒤에 달마조사가 심인을 단전(單傳)하며 집착을 깨뜨리고 종(; 근본 이니 을 가리킴)을 나타냈으니 이른 바 교 밖에 따로 전하여 문자를 세우지 않고 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리켜 견성하고 성불함이다.

 

'태화당총서 다운로드 21종 파일첨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tistory.com)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경 附錄 六祖大師緣記外記 04  (0) 2023.01.03
단경 附錄 六祖大師緣記外記 03  (0) 2023.01.03
단경 附錄 六祖大師緣記外記 01  (0) 2023.01.03
단경 付囑第十 10  (0) 2023.01.02
단경 付囑第十 09  (0) 2023.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