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八祖佛陀難提者 迦摩羅國人也 姓瞿曇氏 頂有肉髻辯捷無礙 初遇婆須蜜尊者出家受敎 旣而領徒行化至提伽國城毘舍羅家 見舍上有白光上騰 謂其徒曰 此家當有聖人 口無言說眞大乘器 不行四衢知觸穢耳 言訖 長者出致禮問何所須 尊者曰 我求侍者 曰我有一子 名伏馱蜜多 年已五十 口未曾言足未曾履 尊者曰 如汝所說眞吾弟子 尊者見之遽起禮拜 而說偈曰 父母非我親 誰是最親者 諸佛非我道 誰爲最道者 尊者以偈答曰 汝言與心親 父母非可比 汝行與道合 諸佛心卽是 外求有相佛 與汝不相似 欲識汝本心 非合亦非離 伏馱蜜多聞師妙偈便行七步 師曰 此子昔曾値佛悲願廣大 慮父母愛情難捨故不言不履耳 時長者遂捨令出家 尊者尋授具戒 復告之曰 我今以如來正法眼藏付囑於汝勿令斷絕 乃說偈曰 虛空無內外 心法亦如此 若了虛空故 是達眞如理 伏馱蜜多承師付囑 以偈讚曰 我師禪祖中 當得爲第八 法化衆無量 悉獲阿羅漢 爾時尊者佛陀難提 卽現神變却復本坐儼然寂滅 衆興寶塔葬其全身 卽景王十二年丙寅歲也〈當作十年〉
●瞿曇; <梵> Gautama 或 Gotama 爲印度刹帝利種中之一姓 瞿曇仙人之苗裔 卽釋尊所屬之本姓 又作裘曇 喬答摩 瞿答摩 俱譚 具譚 此云地最勝 泥土 地種 暗牛 牛糞種 滅惡 又異稱爲日種 甘蔗種 ▲祖庭事苑四 甘蔗 世尊別姓有五 一瞿曇氏 二甘蔗氏 三日種氏 四舍夷氏 五釋迦氏 此五氏中 趣擧一姓 卽是言吾佛也
●肉髻; 梵名烏瑟膩沙 佛頂上有一肉團 如髻狀 名肉髻 卽三十二相中之無見頂相也 據文獻載 西土禪宗第八祖佛陀難提亦有此相
●辯捷; 能言善辯 才思敏捷
●觸穢; 觸於不淨物而自汚謂之觸 增韻曰 觸 汚也
제8조 불타난제(佛陀難提; 梵 buddhanandiya)란 자는 가마라국(迦摩羅國) 사람이며 성이 구담(瞿曇)씨다. 정수리에 육계(肉髻)가 있었고 변첩(辯捷)이 무애(無礙)했다. 처음 바수밀(婆須蜜) 존자를 만나 출가하고 수교(受敎)했다. 이미 그러고선 도중(徒衆)을 거느리고 행화(行化)하다가 제가국성(提伽國城) 비사라가(毘舍羅家)에 이르렀다. 집 위에 백광(白光)이 상등(上騰)함이 있음을 보고 그 도중에게 일러 가로되 이 집에 마땅히 성인(聖人)이 있다. 입으론 언설(言說)이 없지만 참다운 대승기(大乘器)며 네 거리에 다니지 않음은 촉예(觸穢; 汚穢. 더러움)를 아는 것이다. 말을 마치자 장자(長者)가 나와서 예를 드리고(致禮) 묻되 무엇을 수요(需要; 須)하는 바입니까. 존자가 가로되 나는 시자(侍者)를 구합니다. 가로되 나에게 1자(子)가 있는데 이름이 복타밀다(伏馱蜜多)입니다. 나이가 이미 50인데 입으론 일찍이 말하지 않고 발은 일찍이 밟지 않습니다. 존자가 가로되 그대가 설한 바와 같나니 참다운 나의 제자입니다. 존자가 그를 보자 급히 일어나 예배하고 게를 설해 가로되 부모가 나의 친함이 아니니/ 누가 이 가장 친한 자인가/ 제불이 나의 도가 아니니/ 누가 가장 도가 되는 자인가. 존자가 게로써 답해 가로되 너의 말은 마음과 더불어 친함이니/ 부모는 가히 비교되지 않고/ 너의 행은 도와 더불어 합하나니/ 제불의 마음이 곧 이것이다/ 밖으로 유상불(有相佛)을 구함은/ 너와 상사(相似)하지 않나니/ 너의 본심을 알고자 한다면/ 합함도 아니고 또한 여읨도 아니다. 복타밀다가 스님의 묘게(妙偈)를 듣자 바로 7보(步)를 행했다. 사왈(師曰) 이 남자는 옛적에 일찍이 부처를 만났고 비원(悲願)이 광대하다. 부모의 애정을 버리기 어려움을 염려한지라 고로 말하지 않고 다니지 않았을 뿐이다. 때에 장자(長者)가 드디어 버려서 출가하게 했다. 존자가 이윽고 구계(具戒)를 주었고 다시 그에게 고해 가로되 내가 이제 여래의 정법안장을 너에게 부촉하니 단절되게 하지 말아라. 이에 게를 설해 가로되 허공은 내외(內外)가 없나니/ 심법(心法)도 또한 이와 같다/ 이에(若) 허공을 깨친(了) 연고로/ 이에 진여의 이치를 통달했다. 복타밀다가 스님의 부촉을 받자(承) 게로써 찬탄해 가로되 아사(我師)는 선조(禪祖) 중에서/ 마땅히 제8이 됨을 얻었다/ 법화(法化; 법으로 교화)한 대중이 무량하나니/ 모두(悉) 아라한을 얻었다. 이때 존자 불타난제가 곧 신변(神變)을 나타내고 도리어 본좌(本坐)로 돌아와 엄연(儼然)히 적멸(寂滅)했다. 대중이 보탑(寶塔)을 일으키고 그 전신을 안장(安葬)했다. 곧 경왕(景王; 周景王; ?-前 520) 12년 병인세다〈마땅히 10년으로 지어야 한다〉.
●瞿曇; <범> Gautama 혹 Gotama. 인도 찰제리종 중의 1성(姓)이 됨. 구담선인의 묘예(苗裔; 후예)니 곧 석존이 소속된 본성임. 또 구담(裘曇)ㆍ교답마ㆍ구답마ㆍ구담(俱譚)ㆍ구담(具譚)으로 지음. 여기에선 이르되 지최성(地最勝)ㆍ이토(泥土)ㆍ지종(地種)ㆍ암우(暗牛)ㆍ우분종(牛糞種)ㆍ멸악(滅惡)이며 또 이칭은 일종(日種)ㆍ감자종(甘蔗種)임. ▲조정사원4. 감자(甘蔗) 세존의 다른 성이 다섯이 있다. 1은 구담씨(瞿曇氏)며 2는 감자씨(甘蔗氏)며 3은 일종씨(日種氏)며 4는 사이씨(舍夷氏)며 5는 석가씨다. 이 5씨 중에 나아가 1성만 들어도 곧 이 우리 부처를 말함이다.
●肉髻; 범명(梵名)은 오슬니사(烏瑟膩沙; 梵 uṣṇīṣa)니 불타의 정상에 하나의 육단(肉團)이 있어 상투의 형상(形狀)과 같으며 명칭이 육계임. 곧 32상 중의 무견정상(無見頂相)임. 문헌의 기재에 의거하면 서토 선종 제8조 불타난제도 또한 이 상이 있음.
●辯捷; 능언(能言)하고 선변(善辯)함. 재사(才思)가 민첩(敏捷)함.
●觸穢; 부정물에 접촉하여 스스로 더러워짐을 일러 촉(觸)이라 함. 증운(增韻)에 가로되 촉(觸) 오(汚)다.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1 제10조 협존자(脇尊者) (0) | 2023.01.15 |
---|---|
전등록 권1 제9조 복타밀다(伏馱蜜多) (0) | 2023.01.15 |
전등록 권1 제7조 바수밀(婆須蜜) (0) | 2023.01.15 |
전등록 권1 제6조 미차가(彌遮迦) (0) | 2023.01.14 |
전등록 권1 제5조 제다가(提多迦) (0) | 2023.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