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록

전등록 권4 전식선사(全植禪師)

태화당 2023. 2. 7. 06:59

淮南都梁山全植禪師 光州人也 姓芮氏 初結庵居止 太守衛文卿命本州長壽寺開法聚徒 文卿問曰 將來佛法隆替若何 師曰 眞實之物無古無今亦無軌躅 有爲之法四相遷流 法當陻厄 君侯可見 師年九十三而終 唐會昌四年甲子九月七日入塔

軌躅; 車輪輾過之痕跡 喻法則 規範

四相; 指顯示諸法生滅變遷之生住異滅等四相

陻厄; 困厄時運不好

君侯; 一種尊稱 秦漢時稱列侯而爲丞相者 漢以後 用爲對達官貴人的敬稱

 

회남(淮南) 도량산(都梁山) 전식선사(全植禪師). 광주(光州) 사람이며 성이 예씨(芮氏). 처음에 결암(結庵)하고 거지(居止)했는데 태수(太守) 위문경(衛文卿)이 명령하여 본주(本州) 장수사(長壽寺)에서 개법(開法)하고 취도(聚徒)했다. 문경(文卿)이 문왈(問曰) 장래의 불법의 융체(隆替; 興廢)가 어떻겠습니까(若何). 사왈(師曰) 진실한 물건은 무고무금(無古無今)하고 또한 궤촉(軌躅)이 없지만 유위(有爲)의 법은 4(四相)으로 천류(遷流)하여 법이 마땅히 인액(陻厄)하나니 군후(君侯)가 가히 볼 것입니다. 스님은 나이 93에 마쳤다. () 회창(會昌) 4년 갑자(甲子; 844) 97일에 입탑(入塔)했다.

軌躅; 거륜(車輪)이 전과(輾過)한 흔적. 법칙, 규범에 비유함.

四相; 제법의 생멸과 변천을 현시(顯示)하는 생ㆍ주ㆍ이ㆍ멸 등 4상을 가리킴.

陻厄; 곤액(困厄)으로 시운(時運)이 좋지 않음.

君侯; 일종의 존칭이니 진한(秦漢) 때 열후(列侯)를 일컬어 승상(丞相)이라 한 것. () 이후엔 써서 달관(達官; 높은 관직)과 귀인에 때한 경칭이 되었음.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40만 원. 할인. 잔본 81질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pyungsims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