景德傳燈錄卷第五
第三十三祖慧能大師
第三十三祖慧能大師法嗣四十三人
西印度堀多三藏
韶州法海禪師
吉州志誠禪師
匾檐山曉了禪師
河北智隍禪師
洪州法達禪師
壽州智通禪師
江西志徹禪師
信州智常禪師
廣州志道禪師
廣州法性寺印宗和尙
吉州靑原山行思禪師
南嶽懷讓禪師
溫州永嘉玄覺禪師
司空山本淨禪師
婺州玄策禪師
曹谿令韜禪師
西京光宅寺慧忠禪師
西京荷澤寺神會禪師〈已上一十九人見錄〉
韶州祇陀禪師
撫州淨安禪師
嵩山尋禪師
羅浮山定眞禪師
南嶽堅固禪師
制空山道進禪師
善快禪師
韶山緣素禪師
宗一禪師
會稽秦望山善現禪師
南嶽梵行禪師
幷州自在禪師
西京咸空禪師
峽山泰祥禪師
光州法淨禪師
淸涼山辯才禪師
廣州吳頭陀
道英禪師
智本禪師
廣州淸苑法眞禪師
玄楷禪師
曇璀禪師
韶州刺史韋據
義興孫菩薩〈已上二十四人無機緣語句不錄〉
第三十三祖慧能大師者 俗姓盧氏 其先范陽人 父行瑫武德中左宦于南海之新州 遂占籍焉 三歲喪父 其母守志鞠養 及長家尤貧窶 師樵采以給 一日負薪至市中 聞客讀金剛經 悚然問其客曰 此何法也 得於何人 客曰 此名金剛經 得於黃梅忍大師 師遽告其母以爲法尋師之意 直抵韶州遇高行士劉志略結爲交友 尼無盡藏者 卽志略之姑也 常讀涅槃經 師暫聽之卽爲解說其義 尼遂執卷問字 師曰 字卽不識 義卽請問 尼曰 字尙不識曷能會義 師曰 諸佛妙理非關文字 尼驚異之 告鄕里耆艾云 能是有道之人宜請供養 於是居人競來瞻禮 近有寶林古寺舊地 衆議營緝俾師居之 四衆霧集俄成寶坊
●左宦; 降官 貶職
●南海; 唐書志三十三上地理志嶺南道曰 廣州南海郡 …… 縣十三(云云)
●占籍; 上報戶口 入籍定居
●韶州; 廣東省韶州府曲江縣的古稱 又稱韶陽或如興 有六祖慧能所住的南華山寶林寺(南華寺) 說示六祖壇經的大梵寺 雲門文偃所住的雲門山光泰院等
●營緝; 猶營葺 指修建 修繕
●寶坊; 寺院之美稱
제33조 혜능대사(慧能大師)란 자는 속성(俗姓)이 노씨(盧氏)며 그 선조는 범양(范陽) 사람이다. 부(父) 행도(行瑫)는 무덕(武德; 618-626) 중 남해(南海)의 신주(新州)로 좌관(左宦)되었고 드디어 점적(占籍)했다. 3세에 상부(喪父)했고 그 모친이 수지(守志)하며 국양(鞠養; 기르다)했다. 및 장성하자 집안이 더욱(尤) 빈구(貧窶; 貧窮)했고 스님이 섶을 채취하여 급시(給侍)했다. 어느 날 섶을 지고 시중(市中)에 이르렀는데 객이 금강경을 독송함을 들었고 송연(悚然)하여 그 객에게 물어 가로되 이것은 무슨 법이며 어떤 사람에게 얻었습니까. 객왈(客曰) 이것은 이름이 금강경이며 황매(黃梅) 인대사(忍大師)에게서 얻었습니다. 스님이 급히(遽) 그의 모친에게 법을 위해 심사(尋師)할 뜻을 알리고 바로(直) 소주(韶州)에 다다라 고행사(高行士)인 유지략(劉志略)을 만나 결약(結約)해 교우(交友)가 되었다. 니(尼) 무진장(無盡藏)이란 자는 곧 지략(志略)의 고모(姑母)였는데 늘 열반경을 읽었다. 스님이 잠시 이를 듣자 곧 위하여 그 뜻을 해설했다. 니(尼)가 드디어 경권(經卷)을 잡고 글자를 묻자 사왈(師曰) 글자는 곧 알지 못하지만 뜻은 곧 청문(請問)하시오. 니왈(尼曰) 글자도 오히려 알지 못하거늘 어찌(曷) 능히 뜻을 알겠습니까. 사왈 제불의 묘리(妙理)는 문자에 상관되지 않습니다. 니(尼)가 이를 경이(驚異)롭게 여겼다. 향리(鄕里)의 기애(耆艾; 尊長)에게 알려 이르되 혜능은 이 도가 있는 사람이니 의당 청하여 공양하십시오. 이에 거인(居人; 住民)이 다투어 와서 첨례(瞻禮)했다. 근처에 보림고사(寶林古寺)의 구지(舊地)가 있었는데 중인(衆人)이 의논하여 영집(營緝)하여 스님으로 하여금(俾) 거주하게 했다. 4중(衆)이 무집(霧集)했고 갑자기(俄) 보방(寶坊)을 이루었다.
●左宦; 강관(降官). 폄직(貶職; 벼슬이나 職位가 낮은 자리로 떨어지거나 면직을 당함).
●南海; 당서지33상 지리지(地理志) 영남도(嶺南道)에 가로되 광주(廣州) 남해군 …… 현13 (운운).
●占籍; 위로 호구(戶口)임을 보고하고 입적(入籍)하여 정거(定居)함.
●韶州; 광동성 소주부 곡강현의 고칭(古稱). 또 명칭이 소양(韶陽) 혹 여흥이며 6조 혜능이 거주했던 곳인 남화산 보림사(寶林寺; 南華寺)ㆍ육도단경을 설해 보였던 대범사(大梵寺)ㆍ운문문언이 거주했던 곳인 운문산 광태원(光泰院) 등이 있음.
●營緝; 영즙(營葺)과 같음. 수건(修建)ㆍ수선(修繕)을 가리킴.
●寶坊; 사원의 미칭(美稱).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5 제33조 혜능대사(慧能大師) 03 (0) | 2023.02.10 |
---|---|
전등록 권5 제33조 혜능대사(慧能大師) 02 (0) | 2023.02.10 |
전등록 권4 보당사(保唐寺) 무주선사(無住禪師) (0) | 2023.02.09 |
전등록 권4 종남산(終南山) 유정선사(惟政禪師) (0) | 2023.02.08 |
전등록 권4 숭악(嵩嶽) 원규선사(元珪禪師)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