師聞偈再啓曰 經云 諸大聲聞乃至菩薩 皆盡思度量 尙不能測於佛智 今令凡夫但悟自心 便名佛之知見 自非上根未免疑謗 又經說三車 大牛之車與白牛車如何區別 願和尙再垂宣說 祖曰 經意分明 汝自迷背 諸三乘人不能測佛智者 患在度量也 饒伊盡思共推轉加懸遠 佛本爲凡夫說不爲佛說 此理若不肯信者從他退席 殊不知坐却白牛車 更於門外覓三車 況經文明向汝道 無二亦無三 汝何不省 三車是假爲昔時故 一乘是實爲今時故 只敎汝去假歸實 歸實之後實亦無名 應知所有珍財盡屬於汝由汝受用 更不作父想 亦不作子想 亦無用想 是名持法華經 從劫至劫手不釋卷 從晝至夜無不念時也 師旣蒙啓發踊躍歡喜 以偈贊曰 經誦三千部 曹谿一句亡 未明出世旨 寧歇累生狂 羊鹿牛權設 初中後善揚 誰知火宅內 元是法中王 祖曰 汝今後方可名爲念經僧也 師從此領玄旨 亦不輟誦持
●火宅; 三界之生死 譬如火宅也 ▲法華經譬喩品 三界無安 猶如火宅 衆苦充滿 甚可怖畏 常有生老病死憂患 如是等火 熾然不息
●法中王; 指如來 阿彌陀經註曰 師子 一切獸中王也 如來 一切法中王也 故以爲名也
스님이 게를 듣고 다시 사뢰어(啓) 가로되 경운(經云) 모든 대성문(大聲聞) 내지 보살이 모두 다 사유하고 탁량(度量)해도 오히려 능히 불지(佛智)를 헤아리지 못한다 했거늘 이제 범부로 하여금 단지 자심(自心)을 깨닫게 하면서 바로(便) 이름이 불(佛)의 지견이라 하시니 스스로 상근(上根)이 아닐진대 의방(疑謗)을 면하지 못할 것입니다. 또 경에 3거(車)를 설했으니 대우지거(大牛之車)와 백우지거(白牛之車)를 어떻게 구별합니까. 원컨대 화상이 선설(宣說)을 다시 내리십시오. 조왈(祖曰) 경의(經意)가 분명하거늘 네가 스스로 미배(迷背)한다. 모든 3승(乘)의 사람이 불지(佛智)를 능히 헤아리지 못한다는 것은 우환(憂患)이 탁량(度量)에 있다. 비록(饒) 그들이 모두 사유하고 함께 추리(推理)한다 하더라도 더욱(轉) 현원(懸遠; 아득히 멂)만 더한다. 부처는 본래 범부를 위해 설하며 부처를 위해 설하지 않는다. 이 이치를 만약 긍신(肯信; 수긍해 믿음)하지 않는 자일진대 그로 좇아 퇴석(退席)하거니와 백우거(白牛車)에 좌각(坐却; 却은 조사)하고 다시 문밖에서 3거(車)를 찾는 줄 너무 알지 못한다. 하물며 경문에 명백하게 너를 향해 말하되 둘이 없고 또한 셋이 없다(無二亦無三) 하였다. 네가 왜 성찰하지 못하느냐. 3거(車)는 이 가(假)니 석시(昔時)가 되는 연고며 1승(乘)은 이 실(實)이니 금시(今時)가 되는 연고이다. 다만 너로 하여금 가(假)를 제거하고 실(實)로 돌아가게 하고 실(實)로 돌아간 후엔 실(實)도 또한 이름(名)이 없다. 응당 알지니 소유한 진보(珍財)가 모두 너에게 속하며 너로 말미암아 수용(受用)한다. 다시 부(父)라는 사상(思想)을 짓지 말고 또한 자(子)라는 사상을 짓지 말고 또한 용(用)이란 사상이 없어야 이 이름이 법화경을 수지(受持)함이다. 겁(劫)으로 좇아 겁에 이르도록 손에 경권(經卷)을 놓지(釋) 않으며 낮으로 좇아 밤에 이르도록 외우지(念) 않을 때가 없다. 스님이 이미 계발(啓發)을 받자(蒙) 용약(踊躍)하고 환희했고 게로써 찬탄해 가로되 3천 부를 송경(經誦)했으나/ 조계(曹谿; 혜능)의 1구에 망했다/ 출세(出世; 출세간)의 지취를 밝히지 못하면/ 어찌(寧) 누생(累生)의 광병(狂病)을 쉬겠는가(歇)/ 양(羊)ㆍ녹(鹿)ㆍ우(牛)는 권설(權設; 잠시 시설함)이며/ 초중후(初中後)에 잘 선양(宣揚)했다/ 누가 화택(火宅) 내에/ 원래 이 법중왕(法中王)인 줄 아느냐. 조왈 너는 금후(今後)로 바야흐로 가히 이름이 염경승(念經僧)이다. 스님이 이로 좇아 현지(玄旨)를 영회(領會)했고 또한 송경(誦經)을 그치지(輟) 않았다.
●火宅; 3계(界)의 생사는 비유컨대 화택과 같음. ▲법화경 비유품. 3계는 안녕이 없어 마치 화택(火宅)과 같나니 중고(衆苦)가 충만하고 매우 가히 포외(怖畏)할 만하다. 늘 생로병사와 우환이 있나니 이와 같은 등의 불이 치연(熾然)하며 쉬지 않는다.
●法中王; 여래를 가리킴. 아미타경주에 가로되 사자는 일체 짐승 중의 왕이며 여래는 일체의 법 중의 왕인지라 고로 이름을 삼았다.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5 지통선사(智通禪師) 02 (0) | 2023.02.13 |
---|---|
전등록 권5 지통선사(智通禪師) 01 (0) | 2023.02.13 |
전등록 권5 법달선사(法達禪師) 02 (0) | 2023.02.13 |
전등록 권5 법달선사(法達禪師) 01 (0) | 2023.02.13 |
전등록 권5 지황선사(智隍禪師)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