師剗草次有講僧來參 忽有一蛇過 師以鋤斷之 僧云 久響歸宗元來是箇麁行沙門 師云 坐主歸茶堂內喫茶去 雲巖來參 師作挽弓勢 巖良久作拔劍勢 師云 來太遲生 有僧辭去 師喚近前來 吾爲汝說佛法 僧近前 師云 汝諸人盡有事在 汝異時却來遮裏無人識汝 時寒途中善爲去 師上堂云 吾今欲說禪 諸子總近前 大衆進前 師云 汝聽觀音行善應諸方所 僧問 如何是觀音行 師乃彈指云 諸人還聞否 僧曰聞 師云 一隊漢向遮裏覓什麽 以棒趁出 大笑歸方丈 僧問 初心如何得箇入處 師敲鼎蓋三下云 還聞否 僧云聞 師云 我何不聞 師又敲三下問 還聞否 僧云 不聞 師云 我何以聞 僧無語 師云 觀音妙智力能救世間苦 江州刺史李渤問師曰 敎中所言須彌納芥子 渤卽不疑 芥子納須彌莫是妄譚否 師曰 人傳使君讀萬卷書籍還是否 李曰然 師曰 摩頂至踵如椰子大 萬卷書向何處著 李俛首而已 李異日又問云 大藏敎明得箇什麽邊事 師擧拳示之云 還會麽 李云 不會 師云 遮箇措大 拳頭也不識 李云請師指示 師云 遇人卽途中授與 不遇卽世諦流布 師以目有重瞳 遂將藥手按摩 以致目眥俱赤 世號赤眼歸宗焉 後示滅 勅諡至眞禪師
●久響; 響 用同嚮 趣向 向著 長久敬慕 用於最初相見其人時的語 嚮 趨向 向著 集韻 嚮 面也 或從向
●茶堂; 禪林中 在法堂後 寢堂前 住持行禮之處 卽方丈也 [象器箋二] ●太遲生; 太 表示程度過分 相當于甚 生 語助辭 相當于然或樣字
●初心; 一初發心而未經深行者 二起初的心意 原初的信仰 此指一
●李渤; (773-831) 唐代歸宗智常之法嗣 字濬之 元和初年受韓愈勸請 出仕諫議大夫 竝歷任諸職 寶曆年中(8 25-827) 任江州(江西九江)刺史 智常住持棲賢寺時 李渤常前往問法 晩居白鹿洞書院 世稱白鹿先生 逝於太和五年 享年五十九 [傳燈錄七歸宗智常章 禪苑蒙求上 白鹿洞書院志四 廬山記二]
●措大; 又作措大家 明代曺安撰讕言長語云 措大 能擧措大事 謂貴顯大人也
스님이 풀을 깎던(剗) 차에 어떤 강승(講僧)이 내참(來參)했다. 홀연히 1사(蛇)가 있어 지나가자 스님이 호미로써 그것을 끊었다. 승운(僧云) 귀종(歸宗)을 구향(久響)했더니 원래 시개(是箇; 箇는 조사) 추행사문(麁行沙門)입니다. 사운(師云) 좌주(坐主)는 다당(茶堂) 안으로 돌아가서 끽다하시게(喫茶去; 去는 조사). 운암(雲巖; 曇晟)이 내참(來參)하자 스님이 활을 당기는(挽) 자세를 지었다. 운암이 양구(良久)에 검을 뽑는 자세를 지었다. 사운(師云) 옴이 너무 느리다(太遲生). 어떤 중이 고별하고 떠나자 스님이 부르더니 앞으로 다가오너라(近前來). 내가 너를 위해 불법을 설하겠다. 중이 앞으로 다가갔다(近前). 사운(師云) 너희 제인(諸人)은 모두 일이 있나니 네가 다른 때(異時) 이 속(遮裏)으로 돌아온다면(却來) 너를 알 사람이 없으리라. 날이 추우니 도중(途中)에 잘 하여 가거라(善爲去). 스님이 상당하여 이르되 내가 여금에 선(禪)을 설하려고 하니 제자(諸子)는 모두(總) 앞으로 다가오너라(近前). 대중이 앞으로 나아갔다. 사운(師云) 너희가 관음행(觀音行)이 모든 방소(方所)에 잘 응함을 들어라. 승문(僧問) 무엇이 이 관음행입니까. 스님이 곧 탄지(彈指)하고 이르되 제인(諸人)은 도리어 듣느냐. 승왈(僧曰) 듣습니다. 사운 일대한(一隊漢)이 이 속(遮裏)을 향해 무엇을 찾느냐. 방(棒)으로써 쫓아내고(趁出) 크게 웃으며 방장으로 돌아갔다. 승문(僧問) 초심(初心)이 어찌해야(如何) 저(箇) 입처(入處)를 얻겠습니까. 스님이 솥뚜껑을 세 번(三下) 두드리고 이르되 도리어 듣느냐. 승운(僧云) 듣습니다. 사운(師云) 나는 왜 듣지 못하느냐. 스님이 또 세 번 두드리고 묻되 도리어 듣느냐. 승운 듣지 못합니다. 사운 나는 무슨 까닭으로 듣느냐. 중이 말이 없었다. 사운 관음의 묘지력(妙智力)이 능히 세간고(世間苦)를 구제한다. 강주자사(江州刺史) 이발(李渤)이 스님에게 물어 가로되 교중(敎中; 유마경 중)에 말한 바 수미(須彌)가 개자(芥子)를 수납(受納)한다 함은 발(渤)이 곧 의심하지 않습니다만 개자가 수미를 수납한다 함은 이 망담(妄譚; 妄談)이 아닙니까. 사왈 사람들이 전하기를 사군(使君)이 만 권 서적을 읽었다던데 도리어 그렇습니까(是否). 이왈(李曰) 그렇습니다. 사왈 마정지종(摩頂至踵; 정수리에서 발꿈치까지 더듬다)하매 야자(椰子)의 크기와 같거늘 만 권의 서적을 어느 곳을 향해 붙입니까. 이(李)가 머리를 숙일(俛) 따름이었다. 이(李)가 다른 날(異日) 또 물어 이르되 대장교(大藏敎)는 저(箇) 십마변(什麽邊; 어느 가)의 일을 밝힙니까(明得). 스님이 주먹을 들어 보이고 이르되 도리어 압니까. 이운(李云) 알지 못합니다. 사운(師云) 이(遮箇) 조대(措大)가 권두(拳頭; 頭는 조사)도 알지 못합니까. 이운(李云) 스님의 지시를 청합니다. 사운 사람을 만나면 곧 도중(途中)에 수여(授與)하거니와 만나지 못하면 곧 세제(世諦)로 유포(流布)됩니다. 스님이 눈에 중동(重瞳; 겹으로 된 눈동자)이 있은 까닭으로 드디어 약수(藥手)를 가지고 안마(按摩)했는데 목자(目眥; 眼眶이니 눈 언저리)가 모두 붉어짐에 이르른지라(致) 세상에서 호(號)하여 적안귀종(赤眼歸宗)이라 했다. 후에 시멸(示滅)했고 칙시가 지진선사(至眞禪師)다.
●久響; 향(響)은 향(嚮)과 씀이 같음. 취향(趣向), 향착(向著). 장구히 경모(敬慕)함이니 그 사람을 최초에 상견했을 때 쓰는 말임. 향(嚮)은 추향(趨向), 향착(向著). 집운 향(嚮) 면(面)이다. 혹 종향(從向)이다.
●茶堂; 선림 중에서 법당의 뒤, 침당(寢堂)의 앞에 있으며 주지가 행례하는 곳이니 곧 방장임 [상기전2].
●太遲生; 태(太)는 정도가 과분함을 표시하며 심(甚)에 상당함. 생(生)은 어조사며 연(然) 혹 양자(樣字)에 상당함.
●初心; 1. 처음 발심하여 깊은 행을 경험치 못한 자. 2. 기초(起初)의 심의(心意). 원초적 신앙.
●李渤; (773-831) 당대 귀종지상(歸宗智常)의 법사(法嗣). 자는 준지. 원화 초년 한유(韓愈)의 권청을 받아들여 간의대부로 출사(出仕; 벼슬을 하여 관직에 나아감)했으며 아울러 여러 관직을 역임(歷任)했음. 보력년 중(825-827) 강주(江州; 강서 구강)자사에 임명되었음. 지상이 서현사에 주지할 때 이발이 늘 앞으로 가서 법을 물었음. 만년에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에 거주했으며 세칭이 백록선생. 태화 5년에 서거했으며 향년은 59 [전등록7귀종지상장. 선원몽구상. 백록동서원지4. 여산기2].
●措大; 또 조대가(措大家)로 지음. 명대 조안(曺安)이 찬(撰)한 난언장어(讕言長語)에 이르되 조대(措大) 능히 대사(大事)를 거조(擧措)함이니 이르자면 귀현(貴顯; 존귀하고 이름이 높음)의 대인(大人)이다.
景德傳燈錄卷第七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40만 원. 할인. 잔본 81질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pyungsimsa.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8 대동광징(大同廣澄) (0) | 2023.03.09 |
---|---|
전등록 권8 무업선사(無業禪師) (0) | 2023.03.09 |
전등록 권7 귀종지상(歸宗智常) 01 (0) | 2023.03.08 |
전등록 권7 무등선사(無等禪師) (0) | 2023.03.08 |
전등록 권7 동사여회(東寺如會) (0) | 2023.03.07 |